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吹 [의미: 불다, 바람, 부추기다] 연관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확인해 보세요.
(1) 憶吹簫樂(억취소악): 제가 보아서 아는 대로 제 생각만으로 추측(推測). 어림치고 하는 생각. 억지 추측(推測).
생각할 억(憶), 불 취(吹), 퉁소 소(簫), 풍류 악(樂)
(2) 陋塵吹影(누진취영):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努力)을 이르는 말.
티끌 진(塵), 불 취(吹), 그림자 영(影)
(3)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불 취(吹), 두려울 공(恐), 날 비(飛), 잡을 집(執), 두려울 공(恐), 이지러질 휴(虧)
(4) 風吹草動(풍취초동): 바람이 불어 풀이 움직인다는 뜻으로, 경미한 행동에 의하여 영향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바람 풍(風), 불 취(吹), 풀 초(草), 움직일 동(動)
(5) 鳥飛枝二月風吹葉八分(조비지이월풍취엽팔분): 새가 나니 가지는 한들한들(한달+한달=두달), 바람이 불니 잎이 사뿐사뿐함(사분+사분=팔분).
새 조(鳥), 날 비(飛), 가지 지(枝), 두 이(二), 달 월(月), 바람 풍(風), 불 취(吹), 잎 엽(葉), 여덟 팔(八), 나눌 분(分)
(6) 南郭濫吹(남곽남취): 남곽(南郭)이 함부로 분다는 뜻으로, 학예(學藝)에 전문(專門) 지식(知識)도 없이 함부로 날뜀을 두고 이르는 말.
남녘 남(南), 성곽 곽(郭), 불 취(吹)
(7) 吹毛覓疵(취모멱자):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 취(吹), 털 모(毛), 찾을 멱(覓), 흠 자(疵)
(8) 東風吹馬耳(동풍취마이): 말의 귀에 동풍이 분다는 뜻으로, 아무런 감각(感覺)이나 반응(反應)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동녘 동(東), 바람 풍(風), 불 취(吹), 말 마(馬), 귀 이(耳)
(9) 吹之恐飛執之恐陷(취지공비집지공함): 불면 날아갈까 두렵고, 잡으면 꺼질까 두렵다는 뜻으로, 어린 자녀를 매우 사랑함을 이르는 말.
불 취(吹), 갈 지(之), 두려울 공(恐), 날 비(飛), 잡을 집(執), 갈 지(之), 두려울 공(恐), 빠질 함(陷)
(10) 吹毛求疵(취모구자):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濫吹(남취):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吹 사용 한자어/사자성어: 다 합치면 11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