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宿 [의미: 묵다, 별자리, 고을 이름, 성수(星宿), 춘추(春秋) 시대 위(衛)의 한 읍(邑)] 사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확인해 보세요.
(1) 宿虎衝鼻(숙호충비): 자는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공연히 건드려서 화를 입거나 일을 불리하게 만듦을 이르는 말.
묵을 숙(宿), 범 호(虎), 찌를 충(衝), 코 비(鼻)
(2) 獨宿空房(독숙공방): 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홀로 독(獨), 묵을 숙(宿), 빌 공(空), 방 방(房)
(3) 老士宿儒(로사숙유): (1)학식이 많고 덕망이 높은 나이 많은 선비. (2)‘노사숙유’의 북한어.
선비 사(士), 묵을 숙(宿), 선비 유(儒)
(4) 東食西宿(동식서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동녘 동(東), 밥 식(食), 서녘 서(西), 묵을 숙(宿)
(5) 風餐露宿(풍찬노숙):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을 이르는 말.
바람 풍(風), 먹을 찬(餐), 묵을 숙(宿)
(6) 宿西食東(숙서식동): 잠은 서에서 자고 음식은 동에서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많음을 이르는 말. [東家食西家息(동가식서가식)].
묵을 숙(宿), 서녘 서(西), 밥 식(食), 동녘 동(東)
(7) 露宿風餐(노숙풍찬): 한데서 자고, 한데서 먹는다는 뜻으로, 여행(旅行)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묵을 숙(宿), 바람 풍(風), 먹을 찬(餐)
(8)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동녘 동(東), 집 가(家), 밥 식(食), 서녘 서(西), 집 가(家), 묵을 숙(宿)
(9) 鳥宿池邊樹僧敲月下門(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새는 못가의 나무에서 잠자고, 스님은 달 아래의 문을 두드림.
새 조(鳥), 묵을 숙(宿), 못 지(池), 가 변(邊), 나무 수(樹), 중 승(僧), 두드릴 고(敲), 달 월(月), 아래 하(下), 문 문(門)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宿 사용 한자어/사자성어: 세어보니까 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