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거문고에 관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8개

molddu 2021. 1. 18. 07:24
반응형

반가워요. 오늘은 "거문고에 관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8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바로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악기줄 현(絃), 노래 가(歌), 아니 불(不), 그칠 철(輟)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2) 北窓三友(북창삼우):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북녘 북(北), 창 창(窓), 석 삼(三), 벗 우(友)
北窓三友(북창삼우):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3) 好竽鼓瑟(호우고슬):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좋을 호(好), 피리 우(竽), 북 고(鼓), 큰 거문고 슬(瑟)
好竽鼓瑟(호우고슬):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4) 自彈自歌(자탄자가):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스스로 자(自), 탄환 탄(彈), 스스로 자(自), 노래 가(歌)
自彈自歌(자탄자가):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5)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일백 백(百), 풍류 악(樂), 갈 지(之), 어른 장(丈)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6) 嵇琴阮嘯(혜금완소):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산 이름 혜(嵇), 거문고 금(琴), 관문 이름 완(阮), 휘파람불 소(嘯)
嵇琴阮嘯(혜금완소):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7) 人琴俱亡(인금구망): 친구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람 인(人), 거문고 금(琴), 함께 구(俱), 잃을 망(亡)
人琴俱亡(인금구망): 친구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8) 如鼓琴瑟(여고금슬):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같을 여(如), 북 고(鼓), 거문고 금(琴), 큰 거문고 슬(瑟)
如鼓琴瑟(여고금슬):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9) 絃誦之聲(현송지성): 거문고를 타며 시를 읊는 소리.

악기줄 현(絃), 욀 송(誦), 갈 지(之), 소리 성(聲)
絃誦之聲(현송지성): 거문고를 타며 시를 읊는 소리.

(10) 自唱自和(자창자화):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자기가 노래하고 자기가 화답함. (3)남을 위하여 자기가 마련한 것을 자기가 이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絃歌酒讌(현가주연):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함.
(12) 對牛彈琴(대우탄금):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깊은 이치를 말해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므로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13) 琴瑟之樂(금슬지락): ‘금실지락’의 원말.
(14) 朝歌夜絃(조가야현): 아침으로는 노래하고, 밤으로는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음악(音樂)을 즐기면서 놂.
(15) 和如琴瑟(화여금슬): 화합함이 마치 거문고와 큰 거문고 같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화락함을 이르는 말. [= 琴瑟].
(16)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7)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18)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인상여전(藺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거문고에 관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8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