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관념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1개

molddu 2019. 1. 20. 19:04
반응형

반가워요. 오늘은 "관념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1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바로 알아 보세요.

(1) 士農工商(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선비 사(士), 농사 농(農), 장인 공(工), 헤아릴 상(商)
士農工商(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2) 不可抗力(불가항력):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일.

아니 불(不), 옳을 가(可), 막을 항(抗), 힘 력(力)
不可抗力(불가항력):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일.

(3) 本有觀念(본유관념):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밑 본(本), 있을 유(有), 볼 관(觀), 생각 념(念)
本有觀念(본유관념):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4) 一夫從事(일부종사): 한 남편만을 섬김.

한 일(一), 지아비 부(夫), 좇을 종(從), 일 사(事)
一夫從事(일부종사): 한 남편만을 섬김.

(5) 形而上(형이상): 이성적 사유 또는 직관에 의해서만 포착되는 초경험적이며 근원적인 영역.

형상 형(形), 말 이을 이(而), 위 상(上)
形而上(형이상): 이성적 사유 또는 직관에 의해서만 포착되는 초경험적이며 근원적인 영역.

(6) 牝鷄晨鳴(빈계신명):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암컷 빈(牝), 닭 계(鷄), 새벽 신(晨), 울 명(鳴)
牝鷄晨鳴(빈계신명):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7) 女必從夫(녀필종부): (1)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말. (2)‘여필종부’의 북한어.

너 여(女), 반드시 필(必), 좇을 종(從), 지아비 부(夫)
女必從夫(녀필종부): (1)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말. (2)‘여필종부’의 북한어.

(8)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사내 남(男), 높을 존(尊), 너 여(女), 낮을 비(卑)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9) 易姓革命(역성혁명):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바꿀 역(易), 성 성(姓), 가죽 혁(革), 목숨 명(命)
易姓革命(역성혁명):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10)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易世革命(역세혁명): 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관념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1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