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기초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9개

molddu 2019. 1. 8. 09: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초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9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오늘 읽어 보세요.

(1)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남을 여(餘), 없을 무(無), 옳을 가(可), 의논할 론(論)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2) 堅如盤石(견여반석): 기초가 반석처럼 튼튼함을 이르는 말.

굳을 견(堅), 같을 여(如), 소반 반(盤), 돌 석(石)
堅如盤石(견여반석): 기초가 반석처럼 튼튼함을 이르는 말.

(3) 盤石之安(반석지안): 이리저리 흔들리지 아니하는 바위와 같이 기초, 토대, 의지 따위가 견고하거나 견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반 반(盤), 돌 석(石), 갈 지(之), 편안할 안(安)
盤石之安(반석지안): 이리저리 흔들리지 아니하는 바위와 같이 기초, 토대, 의지 따위가 견고하거나 견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盤石之宗(반석지종): 견고(堅固)한 기초(基礎).

소반 반(盤), 돌 석(石), 갈 지(之), 마루 종(宗)
盤石之宗(반석지종): 견고(堅固)한 기초(基礎).

(5) 肇基王迹(조기왕적):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는 기초(基礎).

비롯할 조(肇), 터 기(基), 임금 왕(王), 자취 적(迹)
肇基王迹(조기왕적):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는 기초(基礎).

(6) 沙上樓閣(사상누각):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모래 사(沙), 위 상(上), 문설주 각(閣)
沙上樓閣(사상누각):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7) 餘無足觀(여무족관):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나머지는 볼만한 가치가 없음.

남을 여(餘), 없을 무(無), 발 족(足), 볼 관(觀)
餘無足觀(여무족관):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나머지는 볼만한 가치가 없음.

(8) 萬年之宅(만년지택): 오랜 기간 동안 쓰도록 기초를 튼튼히 하여 잘 지은 집.

일만 만(萬), 해 년(年), 갈 지(之), 집 택(宅)
萬年之宅(만년지택): 오랜 기간 동안 쓰도록 기초를 튼튼히 하여 잘 지은 집.

(9) 車在馬前(거재마전): 수레가 말 앞에 있다는 뜻으로, 처음 말로 마차를 끌게 하려면 다른 수레의 뒤에 말을 매어서 따라오게 한 뒤에 나중에 다른 마차를 끌도록 훈련시킨다는 의미에서, 사람을 훈련시킬 경우에도 기초적인 일부터 훈련을 시킨 뒤에 전문적인 일에 종사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

수레 거(車), 있을 재(在), 말 마(馬), 앞 전(前)
車在馬前(거재마전): 수레가 말 앞에 있다는 뜻으로, 처음 말로 마차를 끌게 하려면 다른 수레의 뒤에 말을 매어서 따라오게 한 뒤에 나중에 다른 마차를 끌도록 훈련시킨다는 의미에서, 사람을 훈련시킬 경우에도 기초적인 일부터 훈련을 시킨 뒤에 전문적인 일에 종사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기초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