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껍질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17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늦기전에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수박 껍질만 핥는다: ‘수박 겉 핥기’의 북한 속담.
(2)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를 잡을까: 호랑이 가죽이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힘들여 애써야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껍질 없는 털가죽이 없다: ‘껍질 없는 털이 있을까’의 북한 속담.
(4) 껍질 없는 털이 있을까: 무엇이나 그 바탕이 있어야 생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콩 실은 당나귀가 우쭐대면 껍질 실은 당나귀도 우쭐댄다: 남은 자랑거리가 있어서 우쭐대는데 자기는 아무런 자랑거리도 없으면서 덩달아 우쭐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불탄 조기 껍질 같다: 일마다 이루어지지 아니하거나 발전이 없고 점점 오그라들기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북어 껍질 오그라들듯: 일마다 이루어지지 아니하거나 발전이 없고 점점 오그라들기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피나무 껍질 벗기듯: 물오른 소나무의 속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겉에 두르고 있는 의복이나 껍데기 따위를 말끔히 빼앗거나 벗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뛸 수 있고 잣 껍질을 배 삼아 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사람이 작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이 말세(末世)가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불가능한 잔꾀를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겉보리를 껍질째 먹은들 시앗이야 한집에 살랴: 아무리 고생을 하고 살망정 남편의 첩과 한집에서 살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아이 새끼도 아홉 껍질을 입는다: 아이를 입히는 것이 매우 큰 문제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새 까먹은 소리: 새가 낟알을 까먹고 난 빈 껍질 같은 소리라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을 듣고 퍼뜨린 헛소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소라 껍질 까먹어도 한 바구니 안 까먹어도 한 바구니: 무슨 일을 하고 났는데도 흔적이 남지 않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행담 짜는 놈은 죽을 때도 버들잎을 물고 죽는다: 버들가지로 행담을 짜는 사람은 죽을 때도 버들 껍질을 입으로 물어 벗기다가 죽는다는 뜻으로,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자기 본색을 감추지 못한다는 말.
(16) 소 잡은 터전은 없어도 밤 벗긴 자리는 있다: 큰 짐승인 소를 잡은 자리는 흔적이 없어도 하찮은 밤을 벗겨 먹고 남은 밤송이와 껍질은 남는다는 뜻으로, 나쁜 일이면 조그마한 것일지라도 잘 드러나게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명태하고 팥은 두들겨서 껍질을 벗기고 촌놈하고 계집은 두들겨서 길들인다: 계집은 무섭게 다루어 길을 들여야 한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껍질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17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