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난초에 관한 한자어: 총 15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늦기전에 읽어 보세요.
(1) 同心之言其臭如蘭(동심지언기취여란): 마음을 함께 하는 말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
한가지 동(同), 마음 심(心), 갈 지(之), 말씀 언(言), 그 기(其), 냄새 취(臭), 같을 여(如), 난초 란(蘭)
(2) 芝蘭之交(지란지교):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지초 지(芝), 난초 란(蘭), 갈 지(之), 사귈 교(交)
(3) 蘭摧玉折(난최옥절): 난초가 꺾어지고 옥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현인군자나 재자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
꺾을 최(摧), 구슬 옥(玉), 꺾을 절(折)
(4) 同心之言(동심지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한가지 동(同), 마음 심(心), 갈 지(之), 말씀 언(言)
(5) 蘭芷漸滫(난지점수): 난초(蘭草)와 구릿대, 즉 향초(香草)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구리때 지(芷), 점점 점(漸), 뜨물 수(滫)
(6) 金蘭之契(금란지계):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을 이르는 말.
쇠 금(金), 난초 란(蘭), 갈 지(之), 맺을 계(契)
(7) 桂棹蘭槳(계도난장): 계수나무(桂樹--)로 만든 노와 난초(蘭草)의 삿대란 뜻으로, 노와 삿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계수나무 계(桂), 노 도(棹), 상앗대 장(槳)
(8) 蕙焚蘭悲(혜분난비): 혜초(蕙草)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벗의 불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
향풀 이름 혜(蕙), 불사를 분(焚), 슬플 비(悲)
(9) 梅蘭菊竹(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매화나무 매(梅), 난초 란(蘭), 국화 국(菊), 대 죽(竹)
(10)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11) 春蘭秋菊(춘란추국): 봄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12) 似蘭斯馨(사란사형): 난초(蘭草)같이 꽃다우니 군자(君子)의 지조(志操)를 비유(比喩)한 것임.
(13) 蘭艾同焚(난애동분): 난초(蘭草)와 쑥을 함께 불태운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구별(區別)하지 않고 처벌(處罰)함을 이르는 말.
(14)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15) 臭如蘭(취여란): 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난초에 관한 한자어: 총 15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