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 ^^; 이번에는 "대중에 관한 한자어: 모아보면 11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꼭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梟首警衆(효수경중):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올빼미 효(梟), 머리 수(首), 경계할 경(警), 무리 중(衆)
(2) 得衆得國(득중득국):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얻을 득(得), 무리 중(衆), 얻을 득(得), 나라 국(國)
(3) 衆怒難犯(중노난범):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무리 중(衆), 성낼 노(怒), 어려울 난(難), 범할 범(犯)
(4) 仁言利博(인언이박):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어질 인(仁), 말씀 언(言), 넓을 박(博)
(5) 喝食(갈식):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꾸짖을 갈(喝), 밥 식(食)
(6) 博施濟衆(박시제중): 널리 사랑과 은혜를 베풀어서 뭇사람을 구제함.
넓을 박(博), 베풀 시(施), 건널 제(濟), 무리 중(衆)
(7) 率馬以驥(솔마이기): 예사로운 말을 통솔하는 대는 준마(駿馬)로 한다는 뜻으로, 대중을 지도함에는 훌륭한 인물로서 함을 비유하는 말.
거느릴 솔(率), 말 마(馬), 써 이(以), 천리마 기(驥)
(8) 英雄豪傑(영웅호걸): 영웅과 호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꽃부리 영(英), 수컷 웅(雄), 호걸 호(豪), 뛰어날 걸(傑)
(9) 囊中之錐(낭중지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주머니 낭(囊), 가운데 중(中), 갈 지(之), 송곳 추(錐)
(10) 拈華微笑(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11) 拈華示衆(염화시중):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
바로가기 대중에 관한 한자어: 모아보면 11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