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가워요. 이번에는 "방면에 관련있는 한자어: 총 12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알아 보세요.
(1) 博而不精(박이부정):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넓을 박(博), 말 이을 이(而), 아닌가 부(不), 정미할 정(精)
(2) 四面八方(사면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넉 사(四), 낯 면(面), 여덟 팔(八), 모 방(方)
(3) 萬物博士(만물박사): 여러 방면에 모르는 것이 없는 매우 박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만 만(萬), 만물 물(物), 넓을 박(博), 선비 사(士)
(4) 博而精(박이정):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넓을 박(博), 말 이을 이(而), 정미할 정(精)
(5) 庶政刷新(서정쇄신): 여러 방면에서 정치 폐단을 고쳐 새롭게 함.
뭇 서(庶), 정사 정(政), 인쇄할 쇄(刷), 새 신(新)
(6) 八不出(팔불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여덟 팔(八), 아니 불(不), 날 출(出)
(7) 八面不知(팔면부지): 어느 면으로 보나 전혀 모름. 또는 그런 사람.
여덟 팔(八), 낯 면(面), 아닌가 부(不), 알 지(知)
(8) 八方美人(팔방미인): (1)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 (2)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한 가지 일에 정통하지 못하고 온갖 일에 조금씩 손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주관이 없이 누구에게나 잘 보이도록 처세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여덟 팔(八), 모 방(方), 아름다울 미(美), 사람 인(人)
(9) 才學識三長(재학식삼장): 재주와 학문과 식견 세 방면에 빼어나다는 뜻으로, 훌륭한 역사를 쓰는 데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에서 유래됨.
재주 재(才), 배울 학(學), 알 식(識), 석 삼(三), 길 장(長)
(10) 四方八方(사방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11) 四角八方(사각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12) 泰山北斗(태산북두):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방면에 관련있는 한자어: 총 12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