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속담 모음

소금에 관련된 속담: 모두 44개

molddu 2019. 1. 27. 12:57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금에 관련된 속담: 모두 44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말 잡은 집에 소금이 해자(解座)라: 여럿이서 말을 잡아먹을 때 주인이 소금을 거저 낸다는 뜻으로, 부득이한 처지에 있어 생색 없이 무엇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

속담: 말 잡은 집에 소금이 해자(解座)라

(2) 말 죽은 집에 소금 삭는다: 여럿이서 말을 잡아먹을 때 주인이 소금을 거저 낸다는 뜻으로, 부득이한 처지에 있어 생색 없이 무엇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

속담: 말 죽은 집에 소금 삭는다

(3) 소금 섬을 물로 끌라고 해도 끈다: 소금 섬을 물로 끌면 소금이 녹아 없어져서 애쓴 보람도 없이 일을 망치고 마는 데도 아무 생각 없이 남이 시키니까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맹목적으로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소금 섬을 물로 끌라고 해도 끈다

(4) 들 중은 소금을 먹고 산 중은 나물을 먹는다: 자기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에 쓸데없이 간섭한다는 말.

속담: 들 중은 소금을 먹고 산 중은 나물을 먹는다

(5) 의주 륙섬 강냉이 가렴 보고 큰다: 의주 육섬의 옥수수가 저를 사 갈 가렴의 소금 굽는 사람들을 바라면서 자란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희망을 걸고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의주 륙섬 강냉이 가렴 보고 큰다

(6) 쥐가 하루밤에 소금 한 섬을 나른다: 약한 힘이라도 꾸준히 하면 일을 크게 해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쥐가 하루밤에 소금 한 섬을 나른다

(7) 쥐 소금 나르듯[녹이듯]: 조금씩 조금씩 줄어 없어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쥐 소금 나르듯[녹이듯]

(8) 쥐 소금 먹듯: 조금씩 조금씩 줄어 없어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쥐 소금 먹듯

(9) 쥐 소금 먹듯: 조금씩 조금씩 먹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쥐 소금 먹듯

(10) 소금으로 장을 담근다 해도 곧이듣지 않는다: 아무리 사실대로 말하여도 믿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비 소금 섬 녹이듯: ‘쥐 소금 나르듯[녹이듯]’의 북한 속담.
(12) 사람 속은 소금 서 말을 같이 먹어 보아야 안다: 사람을 알자면 오래 같이 생활하여 보아야 함을 이르는 말.
(13) 살을 째고 소금을 치는 사람이다: 남의 살을 째고 거기다가 소금을 칠 만큼 성질이 몹시 모질고 악착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가마목의 소금도 집어 넣어야[쳐야만] 짜다: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의 북한 속담.
(15) 간장이 시고 소금이 곰팡 난다[슨다]: 간장이 시어질 수 없고 소금에 곰팡이가 날 수 없다는 뜻으로,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16) 장 내고 소금 낸다: 제 뜻대로 주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게 등에 소금 치기: 아무리 해도 쓸데없는 짓을 이르는 말.
(18) 소금도 곰팡 난다: 절대 상하지 아니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금도 상할 때가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절대 탈이 생기지 아니한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는 말.
(19) 소금도 쉴 때가 있다: ‘소금도 곰팡 난다’의 북한 속담.
(20) 소금도 없이 간 내먹다: 준비나 밑천도 없이 큰 이득을 보려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21) 소금도 없이 간 내먹다: 매우 인색함을 비꼬는 말.
(22) 소금 먹던 게 장을 먹으면 조갈병에 죽는다: 소금만 먹던 이가 장맛을 보고는 좋다고 너무 먹다가 조갈이 든다는 뜻으로, 없이 살던 사람이 돈이 좀 생기면 사치에 빠지기 쉽다는 말.
(23) 소금 먹은 놈이 물켠다: 무슨 일이든 거기에는 반드시 그렇게 된 까닭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4) 소금 먹은 소 굴우물 들여다보듯: 소금 먹은 소가 목이 말라 깊은 굴우물을 들여다보며 안타까워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골똘하게 궁리하거나 해결 방도를 찾지 못하여 애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소금 먹은 쥐 물로 간다: ‘소금 먹은 놈이 물켠다’의 북한 속담.
(26) 소금 먹은 푸성귀: 기가 죽어 후줄근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7) 소금 섬 지고 물로 가겠다: ‘소금 섬을 물로 끌라고 해도 끈다’의 북한 속담.
(28) 소금에 아니 전 놈이 장에 절까: 소금에 절여도 그대로인 것이 소금기가 덜한 장으로 절인다고 절여지겠느냐는 뜻으로, 더 큰 흉계나 모략도 이겨 낸 사람이 그보다 작은 어지간한 일에 못 견딜 리가 없다는 말.
(29) 소금을 팔러 나섰더니 비가 온다: 매사에 장애가 생겨서 일이 맞아떨어지지 아니하고 잘 안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0) 소금이 쉰다: 틀림없다고 믿었던 일이 뜻밖에 어긋났을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1) 소금이 쉴까: 어떤 일에도 절대로 굽히거나 변하지 아니하고 틀림없어 매우 미더움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32) 소금이 쉴 때까지 해보자: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어떤 일에 대하여 반드시 끝장을 내겠다는 말.
(33) 소불알 떨어지면 구워 먹겠다고 소금 가지고 따라다닌다: 노력은 안 하고 산 소의 불알이 저절로 떨어지기를 마냥 기다리기만 한다는 뜻으로, 노력 없이 요행만 바라는 헛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4) 여울로 소금 섬을 끌래도 끌지: 소금 섬을 물로 끌면 소금이 녹아 없어져서 애쓴 보람도 없이 일을 망치고 마는 데도 아무 생각 없이 남이 시키니까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맹목적으로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5) 들 중은 소금을 먹고 산 중은 나물을 먹는다: 무슨 일이든지 무리하지 말고 사정이 허락하는 대로 하라는 말.
(36) 쥐가 하루밤에 소금 한 섬을 나른다: 쥐가 조금씩 날라 가는 것 같지만 하룻밤에 소금 한 섬을 다 나른다는 뜻으로, 보기에는 하찮은 것 같지만 입는 피해가 매우 큰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7) 밀가루 장사 하면 바람이 불고 소금 장사 하면 비가 온다: 밀가루 장사를 하려고 장을 펼치면 바람이 불어와서 가루가 날리고 소금 장사를 하려고 하면 비가 와서 소금이 녹아내린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매번 뒤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8) 가루 팔러 가니 바람이 불고 소금 팔러 가니 이슬비 온다: 가루 장사를 가면 바람이 불어 가루를 날리고 소금 장사를 가면 이슬비가 와서 소금을 다 녹여 버린다는 뜻으로, 일이 뜻대로 되지 않고 엇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9)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가까운 부뚜막에 있는 소금도 넣지 아니하면 음식이 짠맛이 날 수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좋은 조건이 마련되었거나 손쉬운 일이라도 힘을 들이어 이용하거나 하지 아니하면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0) 생쥐 소금 먹듯: 음식을 맛보듯이 조금씩 먹다가 그만두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1) 소금 먹은 소가 물을 켜지: 무슨 일이든 거기에는 반드시 그렇게 된 까닭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2) 목마른 송아지 우물 들여다보듯: 소금 먹은 소가 목이 말라 깊은 굴우물을 들여다보며 안타까워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골똘하게 궁리하거나 해결 방도를 찾지 못하여 애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3) 소금 실은 배만 하다: 소금 실은 배가 소금기가 배어서 조금은 짜다는 뜻으로, 아주 남은 아니고 아주 먼 인척 관계와 같이 약간 관계가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44) 소금 타러[팔러] 가면 비가 오고 가루 팔러 가면 바람 분다: 매사에 장애가 생겨서 일이 맞아떨어지지 아니하고 잘 안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가기 소금에 관련된 속담: 모두 44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