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실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9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愛莫助之(애막조지): 사랑하나 도와줄 수가 없음.
사랑 애(愛), 없을 막(莫), 도울 조(助), 갈 지(之)
(2) 能言鸚鵡(능언앵무):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능할 능(能), 말씀 언(言), 앵무새 앵(鸚), 앵무새 무(鵡)
(3) 道學先生(도학선생): 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길 도(道), 배울 학(學), 먼저 선(先), 날 생(生)
(4) 羊頭狗肉(양두구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양 양(羊), 머리 두(頭), 개 구(狗), 고기 육(肉)
(5) 塵飯塗羹(진반도갱):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티끌 진(塵), 밥 반(飯), 진흙 도(塗), 국 갱(羹)
(6) 閉門造車(폐문조거):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닫을 폐(閉), 문 문(門), 지을 조(造), 수레 거(車)
(7) 空念佛(공염불): (1)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빌 공(空), 부처 불(佛)
(8) 訥言敏行(눌언민행): 말은 느려도 실제 행동은 재빠르고 능란함.
말더듬을 눌(訥), 말씀 언(言), 재빠를 민(敏), 갈 행(行)
(9) 蒲鞭之罰(포편지벌): 부들 채찍의 형벌이라는 뜻으로, 겉으로는 형벌을 내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제제가 거의 없는 솜방망이 처벌을 이르는 말. 곧 지나치게 관후(寬厚)한 정치를 이름.
부들 포(蒲), 채찍 편(鞭), 갈 지(之), 벌 벌(罰)
(10) 旣成事實(기성사실): 이미 이루어진 사실.
(11) 見虎未見虎(견호미견호): 호랑이를 보기는 보았으나 실지(實地)로는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실제(實際)로 다하지 않으면 생각이 간절(懇切)하지 못하다는 말.
(12) 名過其實(명과기실): 세상의 평판이 실제보다 지나치다는 뜻으로, 이름만 나고 실상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13) 實踐躬行(실천궁행): 실제로 몸소 이행함.
(14) 事上磨鍊(사상마련): 개념(槪念)을 통(通)해서가 아니고, 실제(實際)로 일을 하면서 정신(精神)을 단련(鍛鍊)함. 중국(中國) 명(明)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왕양명(王陽明)이 학문(學問)을 설명(說明)한 말.
(15) 自稱(자칭): (1)자기 자신이나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함. (2)자기 자신을 스스로 일컬음. (3)실제로 어떻든지 상관하지 아니하고 집단으로 어떤 신분, 직함,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자기가 스스로 이르는 말. (4)말하는 사람이 자기 또는 자기의 동아리를 이르는 대명사. ‘나’, ‘저’, ‘우리’, ‘저희’ 따위가 있다.
(16) 以實直告(이실직고): 사실 그대로 고함.
(17) 言過其實(언과기실):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18) 魚質龍文(어질용문): 물고기의 바탕에 용의 무늬라는 뜻으로, 용모는 용같이 위엄이 있지만, 실질은 물고기란 의미처럼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9) 脚踏實地(각답실지): 다리로 실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발로 뛰며 현장을 확인하는 성실한 태도를 이르는 말.
(20) 號曰百萬(호왈백만): 실상은 얼마 되지 아니한 것을 많은 것처럼 과장하여 말함.
(21) 泰山鳴動鼠一匹(태산명동서일필): 태산이 떠나갈 듯 요동쳤으나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으로, 예고는 거창하게 했으나 결과가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22) 名實相符(명실상부):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음.
(23) 空理空論(공리공론): 실천이 따르지 아니하는, 헛된 이론이나 논의.
(24) 眞實無僞(진실무위): 참되어 거짓이 없음.
(25) 畵中之餠(화중지병): 그림 속의 떡이라는 뜻으로, 그림에 그려 있는 떡을 먹을 수 없듯이, 실용되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26) 經世致用(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27) 道學君子(도학군자): (1)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2)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8) 陽動作戰(양동작전): 적의 경계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투는 하지 아니하지만 병력이나 장비를 기동함으로써 마치 공격할 것처럼 보여 적을 속이는 작전.
(29) 改頭換面(개두환면):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30) 點睛(점정): (1)사람이나 짐승 따위를 그릴 때 맨 나중에 눈동자를 그려 넣음. (2)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31) 生卽無生(생즉무생): (1)우리가 보통 태어난다고 생각하는 그 생(生)도, 인연에 의한 가생(假生)에 불과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무생(無生)이라는 말. (2)염불을 닦는 이가 극락 세계에 왕생하면 그대로가 무생을 얻게 되어 대열반(大涅槃)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32) 鏡中美人(경중미인): (1)거울에 비친 미인이라는 뜻으로, 실속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경우가 바르고 얌전하다고 하여 서울ㆍ경기 지역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3) 敬遠(경원): (1)공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음. (2)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실제로는 꺼리어 멀리함. (3)야구에서, 투수가 고의로 사구(四球)를 던져 타자를 1루로 보내는 일.
(34) 名不虛傳(명불허전):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35) 烏有先生(오유선생): 세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처럼 꾸며 낸 인물.
(36)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37) 格物致知(격물치지):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38) 聲東擊西(성동격서):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친다는 뜻으로,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 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
(39) 敬而遠之(경이원지): (1)공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음. (2)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실제로는 꺼리어 멀리함.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실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