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역경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6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늦기전에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쓸 고(苦), 다할 진(盡), 달 감(甘), 올 래(來)
(2) 萬古風霜(만고풍상):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일만 만(萬), 예 고(古), 바람 풍(風), 서리 상(霜)
(3) 韋編三絶(위편삼절): 가죽으로 엮은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공자가 역경(易經)을 세 번이나 애독하여 죽간(竹簡)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다룸가죽 위(韋), 엮을 편(編), 석 삼(三), 끊을 절(絶)
(4)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큰 대(大), 그릇 기(器), 늦을 만(晩), 이룰 성(成)
(5) 歲寒松柏(세한송백): 추운 겨울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어떤 역경 속에서도 지조를 굽히지 않는 사람 또는 그 지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해 세(歲), 찰 한(寒), 솔 송(松), 측백나무 백(柏)
(6) 虧盈益謙(휴영익겸): 가득 찬 것을 덜어서 감소한 것에 더해준다는 뜻으로, 하늘의 도(天道)는 해가 정중에서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지는 것과 같이 가득 찬 것에서 덜어서 부족한 것에 보태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 <역경(易經)>.
이지러질 휴(虧), 찰 영(盈), 더할 익(益), 겸손할 겸(謙)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역경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6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