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의례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읽어 보세요.
(1)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봉새 봉(鳳), 임금 황(皇), 올 래(來), 거동 의(儀)
(2) 賀祥瑞儀(하상서의): 상서(祥瑞)로운 일을 축하하는 의례라는 뜻으로, 전쟁에 이겼을 때나, 나라의 큰 경사 등 상서(祥瑞)로운 일이 있었을 때 하례(賀禮)하는 의식을 이르는 말.
하례할 하(賀), 상서로울 상(祥), 상서 서(瑞), 거동 의(儀)
(3) 回婚禮(회혼례): 부부가 혼인하여 함께 맞이하는 예순 돌을 기념하는 잔치.
돌 회(回), 혼인할 혼(婚), 예도 례(禮)
(4) 拜啓(배계): 절하고 아뢴다는 뜻으로, 편지 첫머리에 쓰는 말.
절 배(拜), 열 계(啓)
(5) 濟濟多士(제제다사):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말. ≪시경≫의 <대아(大雅)> 문왕편(文王篇)에 나오는 말이다.
건널 제(濟), 건널 제(濟), 많을 다(多), 선비 사(士)
(6)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이다.
석 삼(三), 좇을 종(從), 갈 지(之), 길 도(道)
(7) 冠婚喪祭(관혼상제):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제사 등의 네 가지 전통적인 예식.
갓 관(冠), 혼인할 혼(婚), 복입을 상(喪), 제사 제(祭)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의례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