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입춘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7개

molddu 2021. 4. 9. 10:25
반응형

안녕 ^^; 오늘은 "입춘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7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쓸 소(掃), 땅 지(地), 누를 황(黃), 쇠 금(金), 날 출(出)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2)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나라 국(國), 클 태(泰), 백성 민(民), 편안할 안(安)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3) 立春大吉(입춘대길):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봄 춘(春), 큰 대(大), 길할 길(吉)
立春大吉(입춘대길):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4) 家給人足(가급인족):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집 가(家), 넉넉할 급(給), 사람 인(人), 발 족(足)
家給人足(가급인족):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5) 赤地千里(적지천리): 입춘 뒤의 첫 갑자일(甲子日)에 비가 오면, 그해 봄에 크게 가물어서 천리의 넓은 논밭이 다 적지(赤地)가 된다는 말.

붉을 적(赤), 땅 지(地), 일천 천(千), 마을 리(里)
赤地千里(적지천리): 입춘 뒤의 첫 갑자일(甲子日)에 비가 오면, 그해 봄에 크게 가물어서 천리의 넓은 논밭이 다 적지(赤地)가 된다는 말.

(6) 時和年豊(시화연풍):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때 시(時), 고를 화(和), 풍년 풍(豊)
時和年豊(시화연풍):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7) 大寒(대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0도에 이른 때로 한 해의 가장 추운 때이다. 1월 20일경이다. (2)매우 심한 추위.

큰 대(大), 찰 한(寒)
大寒(대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0도에 이른 때로 한 해의 가장 추운 때이다. 1월 20일경이다. (2)매우 심한 추위.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입춘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7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