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장수에 관한 한자어: 전부 43개

molddu 2019. 1. 16. 19:59
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장수에 관한 한자어: 전부 4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바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독 옹(甕), 셈할 산(算), 그림 화(畵), 떡 병(餠)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2) 將門有將(장문유장):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장수 장(將), 문 문(門), 있을 유(有), 장수 장(將)
將門有將(장문유장):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3)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빌 허(虛), 전할 전(傳), 장수 장(將), 하여금 령(令)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굳셀 강(强), 장수 장(將), 아래 하(下), 없을 무(無), 약할 약(弱), 군사 병(兵)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5) 無將之卒(무장지졸): (1)지휘하는 장수가 없는 군사. (2)이끌어 갈 지도자가 없는 무리.

없을 무(無), 장수 장(將), 갈 지(之), 군사 졸(卒)
無將之卒(무장지졸): (1)지휘하는 장수가 없는 군사. (2)이끌어 갈 지도자가 없는 무리.

(6) 府羅將相(부라장상): 마을 좌우(左右)에 장수(將帥)와 정승(政丞)이 벌려 있음.

곳집 부(府), 그물 라(羅), 장수 장(將), 서로 상(相)
府羅將相(부라장상): 마을 좌우(左右)에 장수(將帥)와 정승(政丞)이 벌려 있음.

(7) 將幕之分(장막지분):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장수 장(將), 막 막(幕), 갈 지(之), 나눌 분(分)
將幕之分(장막지분):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8) 麾下將兵(휘하장병): 대장기 아래의 장수와 병사라는 뜻으로, 대장의 진영(陣營)이나 장수가 거느린 장교, 하사관, 병사 등 총칭.

대장기 휘(麾), 아래 하(下), 장수 장(將), 군사 병(兵)
麾下將兵(휘하장병): 대장기 아래의 장수와 병사라는 뜻으로, 대장의 진영(陣營)이나 장수가 거느린 장교, 하사관, 병사 등 총칭.

(9)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빨 연(吮), 등창 저(疽), 갈 지(之), 어질 인(仁)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10) 熊虎之士(웅호지사): 곰과 호랑이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용맹한 무사나 장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鶴齡(학령):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12) 馬革裹屍(마혁과시): 말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4) 賀壽宴(하수연): 장수(長壽)를 축하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를 이른다.
(15) 伐齊爲名(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16) 敗軍之將不可以言勇(패군지장불가이언용): 싸움에 진 군대(軍隊)의 장수(將帥)는 용(勇)을 말할 수 없다는 뜻으로, 패장은 군사(軍事)에 관(關)한 한 말할 자격(資格)이 없음을 이르는 말.
(17) 臨陣易將(임진역장):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18) 自將擊之(자장격지): (1)남에게 시키지 아니하고 손수 함. (2)자기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싸움.
(19) 枕戈待旦(침과대단):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잠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20) 百戰老將(백전로장): (1)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2)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3)‘백전노장’의 북한어. (4)‘백전노장’의 북한어.
(21) 帳幕之誼(장막지의): 장수(將帥)와 막하들 사이의 정의(情誼).
(22)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23) 塩分(염분): (1) 바닷물 속에 함유(含有)된 염류(塩類)의 양(2) 소금기③조선(朝鮮) 시대(時代)에, 관아(官衙)나 궁방(宮房)에서 소금 장수에게 받던 세금(稅金).
(24) 南山之壽(남산지수): 남산(南山)의 수명(壽命)이라는 뜻으로, (1) 장수(長壽)를 비는 말 (2) 종남산(終南山)이 무너지지 않듯이 사업(事業)이 오래감을 이르는 말.
(25) 將相之材(장상지재): 장수나 재상이 될 만한 인재.
(26) 壽福康寧(수복강녕):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27) 大椿之壽(대춘지수): 오래도록 삶.
(28) 死後名將(사후명장): 죽은 뒤에 비로소 이름난 장수.
(29) 使羊將狼(사양장랑): 양으로 하여금 이리의 장수가 되게 한다는 뜻으로, 약자에게 강자를 통솔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30) 萬壽無疆(만수무강): 아무런 탈 없이 아주 오래 삶.
(31) 將幕之間(장막지간): 장수와 막하(幕下)의 사이.
(32) 惟杖無將(유장무장):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33) 賣子(매자): (1)아이를 파는 행위. (2)자손이 귀하거나 자식이 있어도 허약하여 키우기 힘든 집에서, 아이의 장수(長壽)를 비는 뜻으로 불상, 큰 바위, 나무 따위에 장수에 관한 글자를 새기는 일.
(34) 王侯將相(왕후장상): 제왕ㆍ제후ㆍ장수ㆍ재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35) 獻壽(헌수):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36) 唯杖無將(유장무장):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37) 無本大商(무본대상): 밑천 없이 장사하는 큰 장수라는 뜻으로, 도둑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38) 多多益善(다다익선): (1)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高祖)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2)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1988년에,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전화, 라디오,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
(39) 沙中偶語(사중우어):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몰래 모반(謀反)하려고 계책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한고조(漢高祖)가 공신 이십여 명에게 큰 벼슬을 주자,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을 의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40) 出將入相(출장입상):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으로, 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을 이르는 말.
(41) 季布一諾(계포일낙): 절대로 틀림없는 승낙. 중국 초나라 장수인 계포(季布)의 한 번 승낙은 백금을 얻기보다 더 소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42)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43) 山東出相山西出將(산동출상산서출장): 산동(山東)에서는 재상(宰相)이 나고 산서(山西)에서는 장수(將帥)가 난다는 말로, 곳에 따라 다른 인재(人才)가 난다는 뜻.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장수에 관한 한자어: 전부 4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