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속담 모음

쪽박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19개

molddu 2021. 1. 30. 08:48
반응형

좋은 하루 ^^; 오늘은 "쪽박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19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늦기전에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여산 풍경에 헌 쪽박이라: 도무지 어울리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여산 풍경에 헌 쪽박이라

(2) 동냥아치 쪽박 깨진 셈: 먹고사는 데 쓰는 유일한 기술이나 연장이 못쓰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동냥아치 쪽박 깨진 셈

(3) 동냥은 못 줘도 쪽박은 깨지 마라: 남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방해는 하지 말라는 말.

속담: 동냥은 못 줘도 쪽박은 깨지 마라

(4) 동냥은 안 주고 쪽박만 깬다: 요구하는 것은 안 주고 도리어 방해만 한다는 말.

속담: 동냥은 안 주고 쪽박만 깬다

(5) 두만강이 녹두죽이라도 곰방술이 없어서 못 먹겠다: ‘한강이 녹두죽이라도 쪽박이 없어 못 먹겠다’의 북한 속담.

속담: 두만강이 녹두죽이라도 곰방술이 없어서 못 먹겠다

(6) 자식은 쪽박에 밤 주워 담듯 한다: 가난한 가정에서 자식이 많아 좁은 방에 들어앉은 꼴이 마치 쪽박에 밤을 담아 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에 자식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자식은 쪽박에 밤 주워 담듯 한다

(7) 함박 시키면 바가지 시키고 바가지 시키면 쪽박 시킨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무슨 일을 시키면 그도 자기의 아랫사람을 불러 일을 시킨다는 말.

속담: 함박 시키면 바가지 시키고 바가지 시키면 쪽박 시킨다

(8) 개천에 내다 버릴 종 없다: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박이나 그릇도 있는 대로 다 쓴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개천에 내다 버릴 종 없다

(9) 사람과 쪽박[그릇]은 있는 대로 쓴다[쓰인다]: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사람과 쪽박[그릇]은 있는 대로 쓴다[쓰인다]

(10) 거지 제 쪽박 깨기: 도리어 자기 손해만 자초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풍년거지 쪽박 깨뜨린 형상: 서러운 가운데 다시 서러운 일이 겹친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쪽박 쓰고 비 피하기: 봉변을 당하였을 때 당황하여 저도 모르는 사이에 어리석은 방법으로 변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쪽박을 쓰고 벼락을 피해[피하랴]: 봉변을 당하였을 때 당황하여 저도 모르는 사이에 어리석은 방법으로 변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쪽박에 밤 담아 놓은 듯: 올망졸망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쪽박이 제 재주를 모르고 한강을 건너려 한다: 제 분수를 모르고 힘에 겨운 일을 하려는 경우를 비난조로 이르는 말.
(16) 쪽박 차고 바람 잡는다: 되지도 아니할 일인 줄 알면서 헛되이 하는 경우를 비난조로 이르는 말.
(17) 한강이 녹두죽이라도 쪽박이 없어 못 먹겠다: 사람이 몹시 게으르고 무심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18) 사람과 쪽박[그릇]은 있는 대로 쓴다[쓰인다]: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박이나 그릇도 있는 대로 다 쓴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쪽박 속의 주먹밥: 가진 것이라고는 쪽박밖에 없는데 그것조차도 채우지 못하고 겨우 주먹밥 한 덩이를 얻어 넣었다는 뜻으로, 빌어먹는 신세에 있는 사람의 가련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쪽박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1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