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특성에 관련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12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늦기전에 알아 보세요.
(1) 얼굴 보아 가며 이름 짓는다: 이름이란 사물의 생김새를 보아 가며 대상의 특성에 맞게 짓는 법이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구체적인 조건과 특성에 알맞게 처리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쇠뿔도 각각 염주도 몫몫: 쇠뿔도 양쪽에 따로따로 나 있고 한 줄로 꿴 염주도 각각 다르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각각 특성이 있으므로 일하는 방식도 서로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염불도 몫몫이요 쇠뿔도 각각이다: 쇠뿔도 양쪽에 따로따로 나 있고 한 줄로 꿴 염주도 각각 다르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각각 특성이 있으므로 일하는 방식도 서로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잎은 잎대로 가고 꽃은 꽃대로 간다: 모든 것은 처지나 특성이 비슷한 것끼리 모이게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원두밭 삼 년 놓으면 외삼촌도 몰라본다: 원두막을 지키는 일을 계속하면 인심을 잃게 되며 죽은 뒤에 조상하러 오는 사람도 없어진다는 뜻으로, 직업상 특성으로 사람들 속에서 인심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원두밭 삼 년 놓으면 외삼촌도 몰라본다: 원두막을 지키는 일을 계속하면 인심을 잃게 되며 자기 외삼촌도 몰라본다는 뜻으로, 직업상 특성으로 사람들 속에서 인심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원두막 삼 년 놓으면 조상군이 없어진다: 원두막을 지키는 일을 계속하면 인심을 잃게 되며 자기 외삼촌도 몰라본다는 뜻으로, 직업상 특성으로 사람들 속에서 인심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한날한시에 난 손가락도 짧고 길다: 온갖 사물은 다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구별이 된다는 말.
(9) 원두막 삼 년 놓으면 조상군이 없어진다: 원두막을 지키는 일을 계속하면 인심을 잃게 되며 죽은 뒤에 조상하러 오는 사람도 없어진다는 뜻으로, 직업상 특성으로 사람들 속에서 인심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말은 끌어야 잘 가고 소는 몰아야 잘 간다: 어떤 일이나 특성에 맞게 일을 처리하여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이르는 말.
(11) 석류는 떨어져도 안 떨어지는 유자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석류와 유자는 모두 신맛이 나는 열매이지만 석류는 익으면 떨어지고 유자는 안 떨어져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데서 누구나 다 저 잘난 멋에 살게 마련이라는 말.
(12) 앞 못 보는 놈 뺨 치고 뒤보는 놈 골 친다: 눈이 멀어 앞을 못 보는 사람은 앞에서 뺨을 치고 뒤보느라고 쭈그리고 앉은 사람은 뒷골을 친다는 뜻으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게 처리하거나 행동하여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특성에 관련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12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