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 ^^; 이번에는 "피부에 관한 한자어: 모았더니 8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간단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皮膚之見(피부지견): 피부로 본다는 뜻으로, 겉만 보고 성급히 내리는 얕은 견해(見解)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가죽 피(皮), 살갗 부(膚), 갈 지(之), 볼 견(見)
(2)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얼음 빙(氷), 살 기(肌), 구슬 옥(玉), 뼈 골(骨)
(3)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닭 계(鷄), 가죽 피(皮), 학 학(鶴), 터럭 발(髮)
(4) 氷肌雪腸(빙기설장): 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같이 깨끗한 장이라는 뜻으로, 몸도 마음도 결백함을 의미함.
얼음 빙(氷), 살 기(肌), 눈 설(雪), 창자 장(腸)
(5) 皮裏陽秋(피리양추):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가죽 피(皮), 속 리(裏), 볕 양(陽), 가을 추(秋)
(6) 身體髮膚(신체발부): 몸과 머리털과 피부라는 뜻으로, 몸 전체를 이르는 말.
몸 신(身), 몸 체(體), 터럭 발(髮), 살갗 부(膚)
(7) 末學膚受(말학부수): 말단의 학문을 피부로만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근본을 배우지 않고 겉껍질만을 배우는 학문의 천박함을 이르는 말.
끝 말(末), 배울 학(學), 살갗 부(膚), 받을 수(受)
(8) 皮裏春秋(피리춘추): 말로는 잘잘못을 가리지 아니하는 사람도 마음속으로는 셈속과 분별력이 있음.
가죽 피(皮), 속 리(裏), 봄 춘(春), 가을 추(秋)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피부에 관한 한자어: 모았더니 8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