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학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54개

molddu 2019. 1. 31. 10:49
반응형

반가워요. 이번에는 "학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54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간단히 읽어 보세요.

(1) 擧覺(거각):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들 거(擧), 깨달을 각(覺)
擧覺(거각):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2)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매화나무 매(梅), 아내 처(妻), 학 학(鶴), 아들 자(子)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3) 多岐亡羊(다기망양):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많을 다(多), 갈림길 기(岐), 잃을 망(亡), 양 양(羊)
多岐亡羊(다기망양):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4)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푸를 벽(碧), 바다 해(海), 누를 황(黃), 집 택(宅), 푸를 청(靑), 솔 송(松), 흰 백(白), 학 학(鶴), 다락 루(樓)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5) 魚鱗鶴翼(어린학익):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기 어(魚), 비늘 린(鱗), 학 학(鶴), 날개 익(翼)
魚鱗鶴翼(어린학익):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6) 村學究(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을 촌(村), 배울 학(學), 궁구할 구(究)
村學究(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雲中白鶴(운중백학):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구름 운(雲), 가운데 중(中), 흰 백(白), 학 학(鶴)
雲中白鶴(운중백학):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8) 學海(학해):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배울 학(學), 바다 해(海)
學海(학해):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9)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학 학(鶴), 터럭 발(髮), 아이 동(童), 얼굴 안(顔)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10) 鶴首(학수): (1)학의 목. (2)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11)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12) 輪遞天子(윤체천자):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13) 暴虐無道(포학무도): 성질 따위가 몹시 잔인하고 난폭하며 도리에 어긋나 막됨.
(14) 妻梅子鶴(처매자학):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15) 綠水鷗前鏡靑松鶴後屛(녹수구전경청송학후병): 푸른 물은 갈매기 앞의 거울이요, 푸른 소나무는 학 뒤의 병풍(屛風)임.
(16) 居敬窮理(거경궁리):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
(17)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18) 鶴首苦待(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19) 鶴脛雖長斷之則悲(학경수장단지즉비): 학의 다리가 길다고 끓으면 학은 슬퍼할 것이라는 뜻으로, 천부의 특징(特徵)을 부질없이 가감할 것이 아님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0) 延頸鶴望(연경학망): 학처럼 목을 길게 뽑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매우 간절한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鶴立(학립): 학처럼 고개를 길게 빼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떠한 것을 간절히 바라는 일을 이르는 말.
(22)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23) 博學多才(박학다재): 학식이 넓고 재주가 많음.
(24) 華亭鶴唳(화정학려): 화정에서 들은 학의 울음소리.
(25) 老士宿儒(로사숙유): (1)학식이 많고 덕망이 높은 나이 많은 선비. (2)‘노사숙유’의 북한어.
(26)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위풍(衛風)> <기오편(淇澳篇)>과 ≪논어≫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이다.
(27) 鶴企(학기): 학처럼 고개를 길게 빼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떠한 것을 간절히 바라는 일을 이르는 말.
(28) 鶴脛不可斷(학경불가단):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뜻으로, 사물은 각각 타고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함부로 가감손익(加減損益)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
(29)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30) 單鶴胸背(단학흉배): 당하관 문관이 입는 공복(公服)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학 한 마리를 수놓았다.
(31) 鶴鳴之歎(학명지탄): 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野)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
(32) 十長生(십장생):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33) 靑雲之士(청운지사): (1)학문과 덕행을 함께 갖춘 고결한 사람. (2)높은 지위나 벼슬에 오른 사람.
(34) 無所不知(무소부지): 모르는 것이 없음.
(35) 兵者凶器(병자흉기):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36) 半部論語(반부논어): 반 권의 논어라는 뜻으로, (1) 학습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2) 자신의 지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37) 閑雲野鶴(한운야학):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이라는 뜻으로, 아무 매인 데 없는 한가로운 생활로 유유자적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38) 斯文亂賊(사문난적):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39) 鶴乘軒(학승헌): 학이 수레를 탄다는 뜻으로, 산에서 살면서 날아다녀야 할 학이 수레를 탄다는 것은 의(宜: 마땅함)를 잃었음을 이르는 말.
(40) 泰山北斗(태산북두):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1)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42) 道學君子(도학군자): (1)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2)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3) 鶴立鷄群(학립계군): 학이 닭의 무리 속에 서 있다는 뜻으로, 호걸(豪傑)이 뭇사람 가운데에서 뚜렷하게 두각(頭角)을 나타냄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44)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병무편(騈拇篇)>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45)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46) 鶴髮雙親(학발쌍친): 학의 머리를 한 두 어버이라는 뜻으로, 머리가 하얗게 센 연로한 부모님을 일컫는 말.
(47)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48) 鶴望(학망): 학처럼 고개를 길게 빼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떠한 것을 간절히 바라는 일을 이르는 말.
(49) 亡羊之歎(망양지탄): 양을 잃어버리고 난 탄식이라는 뜻으로,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린 양을 찾을 수 없음을 한탄하는 의미인데,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구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50) 鶴鳴之士(학명지사):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51) 鳴鶴在陰其子和之(명학재음기자화지): 어미 학이 울면 새끼학도 울음에 和(화)하여 운다는 뜻으로, 德(덕) 있는 자는 스스로 나타내려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세상(世上)에 알려져서 남. 또한 감화(感化)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52) 靑出於藍(청출어람):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53) 風聲鶴唳(풍성학려):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전진 때 진왕 부견(苻堅)이 비수(淝水)에서 크게 패하고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적군이 쫓아오는 것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54)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학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54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