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가워요. 이번에는 "항아리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8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바로 알아 보세요.
(1) 家無擔石(가무담석):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집 가(家), 없을 무(無), 멜 담(擔), 돌 석(石)
(2)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병 호(壺), 가운데 중(中), 하늘 천(天)
(3)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깨뜨릴 파(破), 독 옹(甕), 건질 구(救), 아이 아(兒)
(4) 壺中之天(호중지천): 술 항아리 속의 천지(天地)라는 뜻으로, (1) 별세계(別世界) 또는 선경(仙境)을 이르는 말 (2) 지극(至極)히 협소함을 이르는 말.
병 호(壺), 가운데 중(中), 갈 지(之), 하늘 천(天)
(5) 壺天(호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병 호(壺), 하늘 천(天)
(6) 壺裏乾坤(호리건곤): 호리병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병 호(壺), 속 리(裏), 마를 건(乾), 곤괘 곤(坤)
(7) 抱瓮灌畦(포옹관휴): 항아리를 안고 밭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 부족하고 뒤떨어진 것을 개량하려 하지 않는 우둔하고 못난 방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안을 포(抱), 독 옹(瓮), 물댈 관(灌), 밭두둑 휴(畦)
(8) 壺中天地(호중천지):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병 호(壺), 가운데 중(中), 하늘 천(天), 땅 지(地)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항아리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8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