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행복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9개

molddu 2019. 12. 15. 11:36
반응형

안녕 ^^; 오늘은 "행복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9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臨河羨魚(임하선어):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강 이름 하(河), 부러워할 선(羨), 고기 어(魚)
臨河羨魚(임하선어):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2) 禳禍求福(양화구복):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제사이름 양(禳), 재난 화(禍), 구할 구(求), 복 복(福)
禳禍求福(양화구복):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3)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복 복(福), 지날 과(過), 재난 화(禍), 날 생(生)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4) 福生於微(복생어미):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복 복(福), 날 생(生), 어조사 어(於), 작을 미(微)
福生於微(복생어미):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5) 多幸多福(다행다복): 운이 좋고 복이 많음.

많을 다(多), 다행할 행(幸), 많을 다(多), 복 복(福)
多幸多福(다행다복): 운이 좋고 복이 많음.

(6)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복 복(福), 이를 지(至), 마음 심(心), 신령 령(靈)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7)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복(福), 덕 덕(德), 둥글 원(圓), 찰 만(滿)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8) 幸災樂禍(행재요화): 남이 재난과 화를 입는 것을 보고 기뻐함.

다행할 행(幸), 재앙 재(災), 좋아할 요(樂), 재난 화(禍)
幸災樂禍(행재요화): 남이 재난과 화를 입는 것을 보고 기뻐함.

(9)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황금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누를 황(黃), 쇠 금(金), 때 시(時), 대신 대(代)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황금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10) 羲皇世界(희황세계): 복희씨 이전의 오랜 옛적의 세상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한가하고 태평하게 사는 세상을 이르는 말.
(11) 壽福康寧(수복강녕):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12) 福生於無爲(복생어무위): 행복(幸福)은 무위(無爲)한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말.
(13) 命也福也(명야복야): 연거푸 생기는 행복.
(14) 幸莫幸矣(행막행의): 더할 수 없이 다행함.
(15) 豊亨豫大(풍형예대): 세상(世上)이 태평성대(太平聖代)라 백성(百姓)이 행복(幸福)을 누림.
(16) 轉禍爲福(전화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17) 吉凶禍福(길흉화복): 좋은 일과 나쁜 일, 불행한 일과 행복한 일.
(18) 乞人憐天(걸인연천):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불행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이 부질없이 행복한 사람을 동정함을 이르는 말.
(19) 干祿(간록): (1)행복을 구함. (2)관리가 되어 녹봉을 구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고자 함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다음에 또 봐요.
바로가기 행복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