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성어,사자성어 풀이

胡 이용 한자어/사자성어: 모아보면 18개

molddu 2021. 1. 4. 20:46
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胡 [의미: 오랑캐 이름, 목, 진(秦) 이전은 흉노(匈奴)만을 일컬었으나 뒤에는 새외(塞外) 민족의 총칭(總稱)이 되었음, 멀다, 장수하다] 포함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쉽게 알아 보세요.

(1)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오랑캐 호(胡), 말 마(馬), 의지할 의(依), 북녘 북(北), 바람 풍(風)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2) 胡不歸(호불귀):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오랑캐 호(胡), 아니 불(不), 돌아갈 귀(歸)
胡不歸(호불귀):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3) 胡思亂量(호사난량):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오랑캐 호(胡), 생각할 사(思), 헤아릴 량(量)
胡思亂量(호사난량):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4) 胡髥(호염):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오랑캐 호(胡), 구레나룻 염(髥)
胡髥(호염):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5) 胡鬼別星(호귀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오랑캐 호(胡), 귀신 귀(鬼), 나눌 별(別), 별 성(星)
胡鬼別星(호귀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6) 胡馬望北(호마망북): 호(胡)나라의 말이 호나라 방향인 북쪽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오랑캐 호(胡), 말 마(馬), 바랄 망(望), 북녘 북(北)
胡馬望北(호마망북): 호(胡)나라의 말이 호나라 방향인 북쪽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7) 胡孫入袋(호손입대): 원숭이가 자루 속에 들어갔다는 뜻으로, 일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오랑캐 호(胡), 손자 손(孫), 들 입(入), 자루 대(袋)
胡孫入袋(호손입대): 원숭이가 자루 속에 들어갔다는 뜻으로, 일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8) 隔胡越(격호월): 호(胡)는 중국의 북방에 있고 월(越)은 중국의 남방에 있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사이 뜰 격(隔), 오랑캐 호(胡), 넘을 월(越)
隔胡越(격호월): 호(胡)는 중국의 북방에 있고 월(越)은 중국의 남방에 있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9) 肝膽胡越(간담호월): 사물(事物)은 보기에 따라 몹시 닮은 것도 서로 다르게 보임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간 간(肝), 쓸개 담(膽), 오랑캐 호(胡), 넘을 월(越)
肝膽胡越(간담호월): 사물(事物)은 보기에 따라 몹시 닮은 것도 서로 다르게 보임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10) 胡言亂語(호언난어): 오랑캐의 어지러운 말이라는 뜻으로, 얼토당토 않는 말을 하거나, 터무니없는 말을 함을 이르는 말.
(11) 胡行亂走(호행난주): 함부로 날뛰며 돌아다님.
(12) 胡言亂說(호언난설): 함부로 지껄이는 말.
(13) 胡思亂想(호사난상):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14) 胡越之隔(호월지격): 북방의 호와 남방의 월의 격차라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사이가 매우 소원(疎遠)함을 비유하는 말인데, 서로의 마음이 전혀 맞지 않음의 비유하기도 함.
(15) 胡蝶之夢(호접지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16) 胡越一家(호월일가):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胡奴子息(호노자식): 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18) 胡蝶夢(호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胡 이용 한자어/사자성어: 모아보면 18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