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별사자성어 1229

才 사용 한자어/사자성어: 다 합치면 41개

좋은 하루 ^^; 오늘은 才 [의미: 재주, 재능이 있는 사람, 기본, 겨우, 결단하다] 관련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간단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곱 칠(七), 걸을 보(步), 갈 지(之), 재주 재(才) (2)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읊을 영(詠), 눈 설(雪), 갈 지(之), 재주 재(才) (3) 淺學菲才(천학비재): 학..

儒 포함 한자어/사자성어: 모았더니 7개

안녕 ^^; 이번에는 儒 [의미: 선비, 유교, 교양 있는 사람, 널리 문물에 관한 취미나 일, 난장이] 이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확인해 보세요. (1) 老士宿儒(로사숙유): (1)학식이 많고 덕망이 높은 나이 많은 선비. (2)‘노사숙유’의 북한어. 선비 사(士), 묵을 숙(宿), 선비 유(儒) (2) 排佛崇儒(배불숭유):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밀칠 배(排), 부처 불(佛), 높을 숭(崇), 선비 유(儒) (3) 穴見小儒(혈견소유): 식견이 좁은 학자. 구멍 혈(穴), 볼 견(見), 작을 소(小), 선비 유(儒) (4) 林下儒門(임하유문):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힘을 쏟는 선비. 아래 하(下), 선비 유(儒), 문 문(門) ..

渴 사용 한자어/사자성어: 찾아보았더니 10개

좋은 하루 ^^; 오늘은 渴 [의미: 목 마르다, 물이 잦다, 물이 마름, 갈증, 서두르다] 포함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감상해 보세요. (1) 渴民待雨(갈민대우):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목마를 갈(渴), 백성 민(民), 기다릴 대(待), 비 우(雨) (2) 山盡海渴(산진해갈):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메 산(山), 다할 진(盡), 바다 해(海), 목마를 갈(渴) (3) 見善如渴(견선여갈): 착한 일을 보기를 마치 목마른 것같이 하라는 뜻. 볼 견(見), 착할 선(善), 같을 여(如), 목마를 갈(渴) (4) 臨渴掘井(임갈굴정):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

虎 사용 한자어/사자성어: 모두 78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虎 [의미: 범, 용맹스럽다, 포학하다, 바둑의 수법, 상대방의 공격에 대비하여 먼저 한 수를 두는 일] 활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虎踞龍盤(호거용반): 범이 걸터앉고 용이 서린 듯한 웅장한 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호(虎), 쭈그리고 앉을 거(踞), 소반 반(盤) (2) 猛虎出林(맹호출림):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나울 맹(猛), 범 호(虎), 날 출(出), 수풀 림(林) (3) 畵虎不成(화호불성):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頂 활용 한자어/사자성어: 모두 8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頂 [의미: 정수리, 머리, 꼭대기, 머리에 이다, 관(冠)을 세는 단위] 관련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알아 보세요. (1) 頂天履地(정천이지):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음. 정수리 정(頂), 하늘 천(天), 땅 지(地) (2) 摩頂放踵(마정방종):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모두 닳는다는 뜻으로, 온몸을 바쳐서 남을 위하여 희생함을 이르는 말. 갈 마(摩), 정수리 정(頂), 놓을 방(放), 뒤꿈치 종(踵) (3) 頂門一針(정문일침):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의 급소를 짚어 따끔한 훈계를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정수리 정(頂), 문 문(門), 한 일(一), 바늘 침(針) (4) 頂上一鍼(정상일침):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따끔한 충고나 교..

幕 관련 한자어/사자성어: 정리하면 7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幕 [의미: 막, 휘장, 진영(陣營), 장군의 군막, 덮다] 연관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將幕之分(장막지분):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장수 장(將), 막 막(幕), 갈 지(之), 나눌 분(分) (2) 煙幕作戰(연막작전):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연기 연(煙), 막 막(幕), 지을 작(作), 싸움 전(戰) (3) 帳幕之誼(장막지의): 장수(將帥)와 막하들 사이의 정의(情誼). 휘장 장(帳), 막 막(幕), 갈 지(之), 옳을 의(誼) (4) 幕後交涉(막후교섭):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은밀히 하는 교섭. 막 막(幕),..

綿 활용 한자어/사자성어: 모았더니 3개

반가워요. 오늘은 綿 [의미: 솜, 이어지다, 잇다, 두르다, 공략(攻略)하다] 이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간단히 읽어 보세요. (1) 綿裏針(면리침):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솜 면(綿), 속 리(裏), 바늘 침(針) (2) 綿裏藏針(면리장침):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솜 면(綿), 속 리(裏), 감출 장(藏), 바늘 침(針) (3) 情緖纏綿(정서전면): 마음이 깊게 얽히고 감겨 떨어지기 어려움, 곧 헤어지기 어려운 남녀(男女)의 정을 이르는 말. 뜻 정(情), 실마리 서(緖), 얽힐 전(纏), 솜 면(綿)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

穴 연관 한자어/사자성어: 세어보니까 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穴 [의미: 구멍, 굴, 구멍을 뚫다, 옆, 그릇되다] 이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늦기전에 알아 보세요. (1) 偕老同穴(해로동혈): (1)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하자는 부부의 굳은 맹세를 이르는 말. ≪시경≫에 나오는 말이다. (2)육방해면의 해면동물. 몸의 길이는 11~36cm, 폭은 2~6cm이고 수세미와 비슷한 둥근 통 모양이다. 대한 해협, 일본 근해의 깊은 바다에 산다. 함께 해(偕), 늙을 로(老), 한가지 동(同), 구멍 혈(穴) (2) 銅山金穴(동산금혈): 구리 산과 금으로 된 굴이라는 뜻으로, 풍성한 자원이나 재원을 이르는 말. 구리 동(銅), 메 산(山), 쇠 금(金), 구멍 혈(穴) (3) 巖穴之士(암..

杵 활용 한자어/사자성어: 모아보면 6개

안녕 ^^; 이번에는 杵 [의미: 공이, 방망이, 달구, 방패, 몽둥이] 연관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편하게 확인해 보세요. (1) 磨鐵杵(마철저):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뜻함. 갈 마(磨), 쇠 철(鐵), 공이 저(杵) (2) 山底貴杵(산저귀저):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메 산(山), 밑 저(底), 귀할 귀(貴), 공이 저(杵) (3) 血流漂杵(혈류표저): 피가 흘러 공이를 띄운다는 뜻으로, 전쟁의 전사자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피 혈(血), 흐를 류(流), 떠돌 표(漂), 공이 저(杵) ..

渡 이용 한자어/사자성어: 총 6개

안녕 ^^; 오늘은 渡 [의미: 건너다, 건네다, 나루터] 포함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꼭 알아 보세요. (1) 三豕渡河(삼시도하):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석 삼(三), 돼지 시(豕), 건널 도(渡), 강 이름 하(河) (2) 三獸渡河(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석 삼(三), 짐승 수(獸), 건널 도(渡), 강 이름 하(河) (3) 如渡得船(여도득선):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