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매화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15개

molddu 2021. 1. 7. 02:4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화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15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확인해 보세요.

(1)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석 삼(三), 더할 익(益), 벗 우(友)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2)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매화나무 매(梅), 아내 처(妻), 학 학(鶴), 아들 자(子)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3) 雅致高節(아치고절):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바를 아(雅), 이룰 치(致), 높을 고(高), 마디 절(節)
雅致高節(아치고절):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4)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눈 설(雪), 가운데 중(中), 임금 군(君), 아들 자(子)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5)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얼음 빙(氷), 살 기(肌), 구슬 옥(玉), 뼈 골(骨)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妻梅子鶴(처매자학):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아내 처(妻), 매화나무 매(梅), 아들 자(子), 학 학(鶴)
妻梅子鶴(처매자학):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7) 梅子十二(매자십이):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매화나무 매(梅), 아들 자(子), 열 십(十), 두 이(二)
梅子十二(매자십이):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8) 松竹梅(송죽매):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솔 송(松), 대 죽(竹), 매화나무 매(梅)
松竹梅(송죽매):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9) 梅蘭菊竹(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매화나무 매(梅), 난초 란(蘭), 국화 국(菊), 대 죽(竹)
梅蘭菊竹(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10) 梅雨(매우): 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해마다 초여름인 유월 상순부터 칠월 상순에 걸쳐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11) 南枝落北枝開(남지락북지개): 매화(梅花)의 남쪽 가지에서는 꽃이 떨어지고 북쪽 가지에서는 꽃이 핀다는 뜻으로, 한난(寒暖)의 차이(差異)를 이르는 말.
(12) 暗香疎影(암향소영): 그윽한 향기(香氣)와 성긴 그림자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두고 이름.
(13)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14) 歲寒三友(세한삼우):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흔히 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송죽매’라고 한다.
(15)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매화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15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