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부모님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0개

molddu 2021. 2. 27. 06:33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부모님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0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간단히 감상해 보세요.

(1) 養志(양지):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기를 양(養), 뜻 지(志)
養志(양지):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2) 昏定晨省(혼정신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어두울 혼(昏), 정할 정(定), 새벽 신(晨), 살필 성(省)
昏定晨省(혼정신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3) 冬溫夏凊(동온하정):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겨울 동(冬), 따뜻할 온(溫), 여름 하(夏), 서늘할 정(凊)
冬溫夏凊(동온하정):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4) 下氣怡聲(하기이성):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

아래 하(下), 기운 기(氣), 기뻐할 이(怡), 소리 성(聲)
下氣怡聲(하기이성):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

(5)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아비 부(父), 어미 모(母), 함께 구(俱), 있을 존(存)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6) 出告反面(출곡반면):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귀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날 출(出), 청할 곡(告), 돌이킬 반(反), 낯 면(面)
出告反面(출곡반면):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귀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7) 愛親敬長(애친경장):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함.

사랑 애(愛), 친할 친(親), 공경 경(敬), 길 장(長)
愛親敬長(애친경장):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함.

(8) 鶴髮雙親(학발쌍친): 학의 머리를 한 두 어버이라는 뜻으로, 머리가 하얗게 센 연로한 부모님을 일컫는 말.

학 학(鶴), 터럭 발(髮), 쌍 쌍(雙), 친할 친(親)
鶴髮雙親(학발쌍친): 학의 머리를 한 두 어버이라는 뜻으로, 머리가 하얗게 센 연로한 부모님을 일컫는 말.

(9)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위 상(上), 받들 봉(奉), 아래 하(下), 거느릴 솔(率)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10) 望雲之情(망운지정):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부모님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0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