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음란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

molddu 2021. 2. 17. 22:04
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음란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뽕나무 상(桑), 강 이름 복(濮), 갈 지(之), 소리 음(音)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2)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뽕나무 상(桑), 틈 간(間), 강 이름 복(濮), 위 상(上)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3) 好色不淫(호색불음): 여색을 좋아하나 음란하지 않다는 뜻으로, 정도(定度)를 넘지 않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인데,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을 평하여 이르는 의미임.

좋을 호(好), 빛 색(色), 아니 불(不), 음란할 음(淫)
好色不淫(호색불음): 여색을 좋아하나 음란하지 않다는 뜻으로, 정도(定度)를 넘지 않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인데,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을 평하여 이르는 의미임.

(4)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뽕나무 상(桑), 틈 간(間), 갈 지(之), 소리 음(音)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5) 鄭音(정음):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음악으로, 음란한 음악을 이르는 말.

나라 이름 정(鄭), 소리 음(音)
鄭音(정음):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음악으로, 음란한 음악을 이르는 말.

(6) 姦聲亂色(간성난색): 음란한 음악과 음란한 여색(女色).

간사할 간(姦), 소리 성(聲), 빛 색(色)
姦聲亂色(간성난색): 음란한 음악과 음란한 여색(女色).

(7)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강 이름 복(濮), 위 상(上), 갈 지(之), 소리 음(音)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8) 鄭衛桑間(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나라 이름 정(鄭), 지킬 위(衛), 뽕나무 상(桑), 틈 간(間)
鄭衛桑間(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9) 淫談悖說(음담패설): 음탕하고 덕의에 벗어나는 상스러운 이야기.

음란할 음(淫), 말씀 담(談), 어그러질 패(悖), 말씀 설(說)
淫談悖說(음담패설): 음탕하고 덕의에 벗어나는 상스러운 이야기.

(10) 鄭衛之音(정위지음):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음란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