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칭찬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33개

molddu 2020. 1. 20. 14:51
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칭찬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3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확인해 보세요.

(1) 面讚我善諂諛之人(면찬아선첨유지인):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낯 면(面), 기릴 찬(讚), 나 아(我), 착할 선(善), 아첨할 첨(諂), 알랑거릴 유(諛), 갈 지(之), 사람 인(人)
面讚我善諂諛之人(면찬아선첨유지인):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2) 賞功(상공): 세운 공을 칭찬하여 상을 줌.

상줄 상(賞), 공 공(功)
賞功(상공): 세운 공을 칭찬하여 상을 줌.

(3) 筆削褒貶(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붓 필(筆), 깎을 삭(削), 기릴 포(褒), 떨어뜨릴 폄(貶)
筆削褒貶(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4) 萬口成碑(만구성비): 많은 사람의 말이 비석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칭찬은 송덕비를 세우는 것과 같음을 이르는 말.

일만 만(萬), 입 구(口), 이룰 성(成), 비석 비(碑)
萬口成碑(만구성비): 많은 사람의 말이 비석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칭찬은 송덕비를 세우는 것과 같음을 이르는 말.

(5) 稱讚不已(칭찬불이): 칭찬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칭찬하여 마지않을 정도로 높이 평가함을 이르는 말.

일컬을 칭(稱), 기릴 찬(讚), 아니 불(不), 그칠 이(已)
稱讚不已(칭찬불이): 칭찬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칭찬하여 마지않을 정도로 높이 평가함을 이르는 말.

(6) 自讚(자찬): 자기를 스스로 칭찬함.

스스로 자(自), 기릴 찬(讚)
自讚(자찬): 자기를 스스로 칭찬함.

(7) 稱之不容口(칭지불용구):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稱讚)함.

일컬을 칭(稱), 갈 지(之), 아니 불(不), 얼굴 용(容), 입 구(口)
稱之不容口(칭지불용구):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稱讚)함.

(8) 擊節稱讚(격절칭찬):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매우 칭찬함.

칠 격(擊), 마디 절(節), 일컬을 칭(稱), 기릴 찬(讚)
擊節稱讚(격절칭찬):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매우 칭찬함.

(9) 擊節稱賞(격절칭상):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탄복하며 칭찬함.

칠 격(擊), 마디 절(節), 일컬을 칭(稱), 상줄 상(賞)
擊節稱賞(격절칭상):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탄복하며 칭찬함.

(10) 賞善罰惡(상선벌악):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11) 錦心繡口(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12) 面譽不忠(면예불충): 면전에서 남을 칭찬하는 사람은 정성스러운 마음이 적음.
(13) 面壁九年(면벽구년):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14) 玉昆金友(옥곤금우): 옥 같은 형과 금 같은 아우라는 뜻으로, 남의 형제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15) 自稱(자칭): (1)자기 자신이나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함. (2)자기 자신을 스스로 일컬음. (3)실제로 어떻든지 상관하지 아니하고 집단으로 어떤 신분, 직함,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자기가 스스로 이르는 말. (4)말하는 사람이 자기 또는 자기의 동아리를 이르는 대명사. ‘나’, ‘저’, ‘우리’, ‘저희’ 따위가 있다.
(16) 豐筋多力(풍근다력): 넉넉하고 풍성한 힘이라는 뜻으로, 서예의 글씨 획이 굵고 힘참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17) 拍手喝采(박수갈채): 손뼉을 치고 소리를 질러 환영하거나 찬성함.
(18) 萬口稱頌(만구칭송): 많은 사람이 한결같이 칭찬함.
(19) 無毁無譽(무훼무예): 훼방도 없으며 칭찬도 없음.
(20) 萬口稱讚(만구칭찬): 많은 사람이 한결같이 칭찬함.
(21) 藍田生玉(남전생옥): 남전(藍田)에서 옥이 난다는 뜻으로, 명문(名門)에서 뛰어난 젊은이가 나옴을 칭찬(稱讚)하는 말.
(22) 百拜致賀(백배치하): 거듭 절을 하며 칭찬하며 축하함.
(23) 月章星句(월장성구):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24) 悅人讚者百事皆僞(열인찬자백사개위): 남의 칭찬(稱讚)을 좋아하는 사람은 온갖일이 모두 거짓됨.
(25) 擊節嘆賞(격절탄상): 무릎을 치면서 탄복(歎服)하고 칭찬(稱讚)함.
(26) 滄浪自取(창랑자취): 물이 맑고 흐린 데 맞추어 처신한다는 뜻으로, 칭찬이나 비난ㆍ상이나 벌을 받는 것이 모두 자기가 할 탓임을 이르는 말.
(27) 字字珠玉(자자주옥): 글자마다 주옥이라는 뜻으로, 글씨가 한 글자 한 글자 묘하게 잘된 것을 이르는 말.
(28) 自畵自讚(자화자찬): 스스로 그리고 스스로 자랑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한다는 의미.
(29) 膾炙(회자):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30) 毁譽相半(훼예상반): 훼방과 칭찬이 서로 반이라는 뜻으로, 헐뜯는 사람과 기리는 사람이 반반임을 이르는 말.
(31)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32) 萬口稱善(만구칭선): 많은 사람이 한결같이 칭찬함.
(33) 庖丁解牛(포정해우): 포정이 소를 발라낸다는 뜻으로, 신기(神技)의 기술을 지닌 백정인 포정이 소의 뼈와 살을 발라낸다는 것에서 신기(神技)에 가까운 솜씨를 비유하거나 훌륭한 기술을 칭찬할 때 비유하여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칭찬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3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