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흉악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9개

molddu 2020. 1. 22. 07:45
반응형

안녕 ^^; 오늘은 "흉악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9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지금 읽어 보세요.

(1) 蜂目豺聲(봉목시성):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말.

벌 봉(蜂), 눈 목(目), 승냥이 시(豺), 소리 성(聲)
蜂目豺聲(봉목시성):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말.

(2) 綿裏針(면리침):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솜 면(綿), 속 리(裏), 바늘 침(針)
綿裏針(면리침):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3) 無據不測(무거불측): (1)성질이 말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없을 무(無), 의거할 거(據), 아니 불(不), 잴 측(測)
無據不測(무거불측): (1)성질이 말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4) 綿裏藏針(면리장침):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솜 면(綿), 속 리(裏), 감출 장(藏), 바늘 침(針)
綿裏藏針(면리장침):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5) 梟破鏡(효파경): 올빼미의 파경이라는 뜻으로, 올빼미가 어미새를 잡아먹는 새고, ‘破鏡’은 아비 짐승을 잡아먹는 짐승이기 때문에 흉악무도(凶惡無道)한 악인을 이르는 말.

올빼미 효(梟), 깨뜨릴 파(破), 거울 경(鏡)
梟破鏡(효파경): 올빼미의 파경이라는 뜻으로, 올빼미가 어미새를 잡아먹는 새고, ‘破鏡’은 아비 짐승을 잡아먹는 짐승이기 때문에 흉악무도(凶惡無道)한 악인을 이르는 말.

(6)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사람 인(人), 낯 면(面), 짐승 수(獸), 마음 심(心)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7) 兵者凶器(병자흉기):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군사 병(兵), 놈 자(者), 흉할 흉(凶), 그릇 기(器)
兵者凶器(병자흉기):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8) 悖逆無道(패역무도):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슬러 사람다운 데가 없음.

어그러질 패(悖), 거스를 역(逆), 없을 무(無), 길 도(道)
悖逆無道(패역무도):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슬러 사람다운 데가 없음.

(9) 虎不食兒(호불식아):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범 호(虎), 아니 불(不), 밥 식(食), 아이 아(兒)
虎不食兒(호불식아):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가기 흉악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