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성어,사자성어 풀이

九 이용 한자어/사자성어: 세어보니까 19개

molddu 2018. 12. 26. 11:59
반응형

안녕 ^^; 오늘은 九 [의미: 아홉, 모으다, 아홉 번, 모임, 극수(極數)] 활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편하게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八徵九徵(팔징구징): 여덟 가지 조짐과 아홉 가지 조짐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됨됨이나 성품을 판단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이르는 말.

여덟 팔(八), 부를 징(徵), 아홉 구(九), 부를 징(徵)
八徵九徵(팔징구징): 여덟 가지 조짐과 아홉 가지 조짐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됨됨이나 성품을 판단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이르는 말.

(2) 八街九陌(팔가구맥): 여덟 갈래의 거리와 아홉 갈래의 거리라는 뜻으로, 팔방(八方)으로 통하는 거리와 구방(九方)으로 통하는 거리가 있는 교통의 요충지나 번화한 곳을 이르는 말.

여덟 팔(八), 거리 가(街), 아홉 구(九), 두둑 맥(陌)
八街九陌(팔가구맥): 여덟 갈래의 거리와 아홉 갈래의 거리라는 뜻으로, 팔방(八方)으로 통하는 거리와 구방(九方)으로 통하는 거리가 있는 교통의 요충지나 번화한 곳을 이르는 말.

(3) 色容必莊是謂九容(색용필장시위구용):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빛 색(色), 얼굴 용(容), 반드시 필(必), 엄숙할 장(莊), 옳을 시(是), 이를 위(謂), 아홉 구(九), 얼굴 용(容)
色容必莊是謂九容(색용필장시위구용):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4) 面壁九年(면벽구년):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낯 면(面), 벽 벽(壁), 아홉 구(九), 해 년(年)
面壁九年(면벽구년):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5) 九死一生(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아홉 구(九), 죽을 사(死), 한 일(一), 날 생(生)
九死一生(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6) 三拜九拜(삼배구배): 삼배의 예와 구배의 예라는 뜻으로, 몇 번이고 머리를 숙이고 일을 부탁한다는 의미.

석 삼(三), 절 배(拜), 아홉 구(九), 절 배(拜)
三拜九拜(삼배구배): 삼배의 예와 구배의 예라는 뜻으로, 몇 번이고 머리를 숙이고 일을 부탁한다는 의미.

(7) 三旬九食(삼순구식):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석 삼(三), 열흘 순(旬), 아홉 구(九), 밥 식(食)
三旬九食(삼순구식):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8) 見得思義是謂九思(견득사의시위구사): 이득(利得)을 보면 반드시 의를 생각해야 하니, 이것을 구사(九思)라 함.

볼 견(見), 얻을 득(得), 생각할 사(思), 옳을 의(義), 옳을 시(是), 이를 위(謂), 아홉 구(九), 생각할 사(思)
見得思義是謂九思(견득사의시위구사): 이득(利得)을 보면 반드시 의를 생각해야 하니, 이것을 구사(九思)라 함.

(9) 望九旬(망구순): 사람의 나이가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한 살을 이르는 말.

바랄 망(望), 아홉 구(九), 열흘 순(旬)
望九旬(망구순): 사람의 나이가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한 살을 이르는 말.

(10) 望九(망구): 사람의 나이가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한 살을 이르는 말.
(11) 九折羊腸(구절양장): 아홉 번 꼬부라진 양의 창자라는 뜻으로, 꼬불꼬불하며 험한 산길을 이르는 말.
(12) 十羊九牧(십양구목): 양 열 마리에 목자가 아홉이라는 뜻으로, 백성에 비해 벼슬아치가 많음을 이르는 말.
(13) 九牛一毛(구우일모):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
(14) 九重宮闕(구중궁궐): 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15) 十顚九倒(십전구도): 열 번 구르고 아홉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16) 九曲肝腸(구곡간장):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九十春光(구십춘광): (1)봄의 석 달 동안. (2)석 달 동안의 화창한 봄 날씨.
(18) 洪範九疇(홍범구주): ≪서경≫의 홍범에 기록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 오행, 오사, 팔정(八政), 오기, 황극, 삼덕, 계의, 서징(庶徵) 및 오복과 육극이다.
(19) 十中八九(십중팔구):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九 이용 한자어/사자성어: 세어보니까 1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