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醜 이용 한자어/사자성어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西施有所醜(서시유소추): 미인(美人)인 서시에게도 추한 데가 있다는 뜻으로, 현인(賢人)에게도 단점(短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서녘 서(西), 베풀 시(施), 있을 유(有), 바 소(所), 더러울 추(醜)
(2)
地醜德齊(지추덕제):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땅 지(地), 더러울 추(醜), 덕 덕(德), 가지런할 제(齊)
(3)
家醜不外揚(가추불외양):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집 가(家), 더러울 추(醜), 아니 불(不), 바깥 외(外), 오를 양(揚)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다음에 또 봐요.
바로가기 醜 포함 한자어/사자성어: 모아보면 3개
서녘 서(西), 베풀 시(施), 있을 유(有), 바 소(所), 더러울 추(醜)
(2)
地醜德齊(지추덕제):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땅 지(地), 더러울 추(醜), 덕 덕(德), 가지런할 제(齊)
땅 지(地), 더러울 추(醜), 덕 덕(德), 가지런할 제(齊)
(3)
家醜不外揚(가추불외양):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집 가(家), 더러울 추(醜), 아니 불(不), 바깥 외(外), 오를 양(揚)
집 가(家), 더러울 추(醜), 아니 불(不), 바깥 외(外), 오를 양(揚)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다음에 또 봐요.
바로가기 醜 포함 한자어/사자성어: 모아보면 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