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 ^^; 오늘은 "덕행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2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꼭 확인해 보세요.
(1) 琢磨(탁마):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쫄 탁(琢), 갈 마(磨)
(2) 陰德陽報(음덕양보): 남이 모르게 덕행을 쌓은 사람은 뒤에 그 보답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응달 음(陰), 덕 덕(德), 볕 양(陽), 갚을 보(報)
(3) 學而知之(학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배울 학(學), 말 이을 이(而), 알 지(知), 갈 지(之)
(4) 冊床兩班(책상양반):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책 책(冊), 상 상(床), 나눌 반(班)
(5) 面折廷爭(면절정쟁):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낯 면(面), 꺾을 절(折), 조정 정(廷), 다툴 쟁(爭)
(6) 德高望重(덕고망중): 덕이 높고 명망(名望)이 무겁다는 뜻으로, 덕행의 인격이 높고 인망(人望)도 크다는 의미.
덕 덕(德), 높을 고(高), 바랄 망(望), 무거울 중(重)
(7) 正人君子(정인군자):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바를 정(正), 사람 인(人), 임금 군(君), 아들 자(子)
(8) 恩山德海(은산덕해): 산과 바다처럼 크고 넓은 은혜.
은혜 은(恩), 메 산(山), 덕 덕(德), 바다 해(海)
(9) 切磨(절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끊을 절(切), 갈 마(磨)
(10) 切磋(절차): 옥이나 돌을 갈고 닦는다는 뜻으로,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11) 才德兼備(재덕겸비): 재주와 덕행을 함께 갖춤.
(12) 不肖子弟(불초자제): 어버이의 덕행이나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자손.
(13) 春華秋實(춘화추실): 봄꽃과 가을 열매라는 뜻으로, 문조(文藻)나 덕행(德行) 혹은 문질(文質)이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4)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위풍(衛風)> <기오편(淇澳篇)>과 ≪논어≫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이다.
(15) 山高水長(산고수장): 산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度德量力(탁덕양력): 자기 자신의 덕행과 능력을 헤아리고 살핌.
(17) 天爵(천작): 하늘에서 받은 벼슬이라는 뜻으로, 남에게서 존경을 받을 만한 선천적인 덕행을 이르는 말.
(18) 衣冠禽獸(의관금수): 의관을 갖춘 짐승이라는 뜻으로, 횡포하고 무례한 관리를 비난하는 말이나, 무지막지하고 덕행이 없는 사람을 욕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19) 靑雲之士(청운지사): (1)학문과 덕행을 함께 갖춘 고결한 사람. (2)높은 지위나 벼슬에 오른 사람.
(20) 德隆望尊(덕륭망존): 덕행과 인망이 높음.
(21) 內聖外王(내성외왕): 안으로는 성인이며 밖으로는 임금의 덕을 갖춘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술과 덕행을 아울러 지닌 사람을 이르는 말.
(22) 道學君子(도학군자): (1)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2)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3) 比屋可封(비옥가봉): 집집마다 덕행이 있어 모두 표창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라에 어진 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덕행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2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