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 ^^; 이번에는 "본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읽어 보세요.
(1) 黃裳綠衣(황상녹의):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귀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누를 황(黃), 치마 상(裳), 옷 의(衣)
(2) 敵國之間(적국지간): (1)적국의 사이. (2)본처와 첩 또는 첩과 첩 사이.
원수 적(敵), 나라 국(國), 갈 지(之), 틈 간(間)
(3)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지게미 조(糟), 겨 강(糠), 갈 지(之), 아내 처(妻)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다음에 또 봐요.
바로가기 본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