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속담 모음

사소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했더니 21개

molddu 2021. 4. 2. 03:48
반응형

반가워요. 오늘은 "사소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했더니 21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손톱 밑에 가시 드는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스는 줄은 모른다: 눈앞에 보이는 사소한 이해관계에는 밝아도, 잘 드러나지 아니하는 큰 문제는 잘 깨닫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손톱 밑에 가시 드는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스는 줄은 모른다

(2) 염통에 고름 든 줄은 몰라도 손톱눈에 가시 든 줄은 안다: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말.

속담: 염통에 고름 든 줄은 몰라도 손톱눈에 가시 든 줄은 안다

(3) 염통이 곪는 줄은 몰라도 손톱 곪는 줄은 안다: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말.

속담: 염통이 곪는 줄은 몰라도 손톱 곪는 줄은 안다

(4) 오 리를 보고 십 리를 간다: 사소한 일도 유익하기만 하면 수고를 아끼지 아니한다는 말.

속담: 오 리를 보고 십 리를 간다

(5) 옥에도 티가 있다: 아무리 훌륭한 사람 또는 좋은 물건이라 하여도 자세히 따지고 보면 사소한 흠은 있다는 말.

속담: 옥에도 티가 있다

(6) 옥에 티: 나무랄 데 없이 훌륭하거나 좋은 것에 있는 사소한 흠을 이르는 말.

속담: 옥에 티

(7) 까마귀 짖어 범 죽으랴: 사소한 방자가 있더라도 큰일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까마귀 짖어 범 죽으랴

(8) 닷곱에 참녜 서 홉에 참견: 남의 사소한 일에까지 간섭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닷곱에 참녜 서 홉에 참견

(9) 용대기 내세우듯: 사소한 재주가 있다 하여 툭하면 그것을 내세우며 자랑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용대기 내세우듯

(10) 노루 잡는 사람에 토끼가 보이나: 큰일을 꾀하는 사람에게 하찮고 사소한 일은 보이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대들보 썩는 줄 모르고 기왓장 아끼는 격: 장차 크게 손해 볼 것은 모르고 당장 돈이 조금 든다고 사소한 것을 아끼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쥐 포수(捕手): 사소한 사물을 얻으려고 애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콩 반 알도 남의 몫 지어 있다: 아무리 작고 사소한 물건이라도 다 각기 주인이 있다는 말.
(14) 썩은 기둥 골 두고 서까래 갈아 댄다고 새집 되랴: 어떤 사물에 있어서 낡은 근본은 그대로 놓아두고 사소한 것을 고치면 결코 개선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간장에 전 놈이 초장에 죽으랴: 단단히 단련된 사람이 사소한 일을 무서워하겠느냐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백지장에 물 한 방울 떨어지듯: 매우 사소하지만 흔적이 남을 때 이르는 말.
(17) 베는 석 자라도 틀은 틀대로 해야 된다: 불과 석 자짜리 베를 짜려고 해도 베틀 차리기는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사소하거나 급하다 하여 기본 원칙을 무시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8) 손톱 곪는 줄은 알아도 염통 곪는 줄은 모른다: 눈앞에 보이는 사소한 이해관계에는 밝아도, 잘 드러나지 아니하는 큰 문제는 잘 깨닫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오다가다 옷깃만 스쳐도 전세의 인연이다: 인간이 살면서 부딪치는 사소한 만남이라도 불가에서 말하는 전생의 인연에서 비롯된다는 뜻으로, 살면서 겪게 되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말.
(20)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가늘게 내리는 비는 조금씩 젖어 들기 때문에 여간해서도 옷이 젖는 줄을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저울눈에 파리: 보잘것없는 파리라도 저울눈에 앉으면 금 사이가 왔다 갔다 하게 된다는 뜻으로, 비록 사소한 것이지만 무엇을 가늠하고 헤아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가기 사소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했더니 21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