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주견에 연관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26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감상해 보세요.
(1) 술에 술 탄 듯 물에 물 탄 듯: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마음이 흔들 비쭉이라: 심지가 굳지 못하고 감정에 좌우되어 주견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4) 길가에 집 짓기: 주견이 없이 남의 간섭이나 의견만 좇다가는 아무 일도 제대로 끝을 맺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남의 장단에 춤춘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남의 피리에 춤춘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남이 친 장단에 엉덩춤 춘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남이 서울 간다니 저도 간단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 남이 은장도를 차니 나는 식칼을 낀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남이 장 간다고 하니 거름 지고 나선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남이 장에 가니 저도 덩달아 장에 간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남이 장에 간다니까 씨오쟁이 떼어 지고 간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녹비에 가로왈: 사슴 가죽에 쓴 가로왈(曰) 자는 가죽을 잡아당기는 대로 일(日) 자도 되고 왈(曰) 자도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의 말을 좇아 이랬다저랬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죽은 게 발 놀리듯 한다: 죽은 게는 남이 움직이는 대로 발을 놀린다는 데서 아무런 주견이나 목적이 없이 남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허파에 쉬슨 놈: 생각이 없고 주견이 서지 못한 사람을 비꼬는 말.
(16) 바람 따라 돛을 단다[올린다]: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17) 바람세에 맞추어 돛을 단다: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18) 방울 소리만 듣고 따라가는 눈먼 강아지: 자기의 주견이 없이 남이 하자는 대로만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19) 새끼에 맨 돌: 주견 없이 남이 하자는 대로 끌려다니는 사람을 비꼬아 이르는 말.
(20) 남의 장단에 엉덩춤 춘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남이 장에 간다고 하니 무릎에 망건 씐다: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한다고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2) 계집애가 오랍아 하니 머슴애도[사내도] 오랍아 한다: 계집아이가 ‘오빠’라고 부른다고 하여 남자도 ‘형’이라고 해야 할 것을 덩달아 ‘오빠’라고 부른다는 뜻으로, 제 주견이 없이 덮어놓고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행동함을 비웃는 말.
(23) 절에 가면 중노릇하고 싶다: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일을 보면 덮어놓고 따르려고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4) 절에 가면 중 되고 싶고 마을에 가면 속인 되고 싶다: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일을 보면 덮어놓고 따르려고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절에 가면 중 이야기 촌에 가면 속인 이야기: 절에 가면 자연히 중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고 마을에 가면 중이 아닌 여느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견이 없이 환경과 장소에 따라 생각과 태도가 잘 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6) 무는 모기 앵한다: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자기 주견을 내놓고 시끄럽게 마구 떠들어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주견에 연관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26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