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molddu 2018. 12. 29. 09:37
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넉 사(四), 때 시(時), 길 장(長), 푸를 청(靑)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2)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좋을 호(好), 날 생(生), 갈 지(之), 만물 물(物)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3)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기장 서(黍), 떠날 리(離)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4) 鄕藥本草(향약본초):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용의 식물, 동물, 광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시골 향(鄕), 약 약(藥), 밑 본(本), 풀 초(草)
鄕藥本草(향약본초):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용의 식물, 동물, 광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5) 不毛之地(불모지지):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

아니 불(不), 털 모(毛), 갈 지(之), 땅 지(地)
不毛之地(불모지지):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

(6)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넉 사(四), 임금 군(君), 아들 자(子)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7) 千枝萬葉(천지만엽): (1)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천 천(千), 가지 지(枝), 일만 만(萬), 잎 엽(葉)
千枝萬葉(천지만엽): (1)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