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여우에 상관된 한자어: 총 23개

molddu 2019. 1. 2. 00:53
반응형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여우에 상관된 한자어: 총 2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여우 호(狐), 의심할 의(疑), 아닐 미(未), 틀 결(決)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2) 與狐謀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줄 여(與), 여우 호(狐), 꾀할 모(謀), 가죽 피(皮)
與狐謀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3)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성 성(城), 여우 호(狐), 토지신 사(社), 쥐 서(鼠)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4)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줄 여(與), 여우 호(狐), 꾀 모(謨), 가죽 피(皮)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5) 兎死狐悲(토사호비):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말.

토끼 토(兎), 죽을 사(死), 여우 호(狐), 슬플 비(悲)
兎死狐悲(토사호비):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말.

(6) 狐死兎泣(호사토읍):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를 슬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여우 호(狐), 죽을 사(死), 토끼 토(兎), 울 읍(泣)
狐死兎泣(호사토읍):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를 슬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7) 狐不二雄(호불이웅):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병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여우 호(狐), 아니 불(不), 두 이(二), 수컷 웅(雄)
狐不二雄(호불이웅):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병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8) 狐死首丘(호사수구): (1)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죽을 때라도 자기의 근본을 잊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여우 호(狐), 죽을 사(死), 머리 수(首), 언덕 구(丘)
狐死首丘(호사수구): (1)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죽을 때라도 자기의 근본을 잊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9) 狐濡尾(호유미):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여우 호(狐), 젖을 유(濡), 꼬리 미(尾)
狐濡尾(호유미):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10) 狐擬(호의): 여우가 의심(疑心)이 많다는 뜻으로, 매사(每事)에 지나치게 의심(疑心)함을 이르는 말.
(11) 狐鼠之盜(호서지도):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12) 狐死兎悲(호사토비): 여우가 죽으면 토끼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의 불행(不幸)을 슬퍼함.
(13) 狐裘蒙戎(호구몽융): 여우 갖옷의 털이 흐트러져있다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이 난폭하고 방자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4)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15) 狐鼠輩(호서배): 여우와 쥐의 무리라는 뜻으로, 간사하고 못된 사람이나 무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借虎威狐(차호위호):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허세(虛勢) 부리는 여우라는 뜻으로, 윗사람의 권위(權威)를 빌려 공갈(恐喝)하는 자를 이르는 말. 남의 권세(權勢)를 빌어 뽐내는 것을 비유(比喩)한 말.
(17) 兩脚野狐(양각야호): 두 다리의 여우라는 뜻으로, 마음이 음흉(陰凶)하고 욕심(慾心)이 많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18) 首邱初心(수구초심):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
(19)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20) 狐假虎威(호가호위):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책≫의 <초책(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21) 狐裘而羔袖(호구이고수): 여우 갖옷에 양 소매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우 갖옷에 양 새끼의 가죽으로 소매를 달면 보기 흉한 것처럼, 대체로 좋으나 작은 부분이 조금 있을 때 사용하는 말.
(22) 狐疑不決(호의불결): 여우가 의심하면서 결정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의심 많은 여우가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것처럼 의심으로 어떤 일을 결행에 옮기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
(23) 社鼠城狐(사서성호): 사당의 쥐와 성곽의 여우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신전(神殿)이나 성곽(城郭)에 깃들어 사는 쥐나 여우처럼 임금 측근에 있는 간신들을 비유하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여우에 상관된 한자어: 총 2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