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유교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

molddu 2021. 3. 27. 06:16
반응형

안녕 ^^; 오늘은 "유교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석 삼(三), 아니 불(不), 갈 거(去)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2)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석 삼(三), 벼리 강(綱), 다섯 오(五), 인륜 륜(倫)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3)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지아비 부(夫), 할 위(爲), 며느리 부(婦), 벼리 강(綱)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4) 排佛崇儒(배불숭유):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밀칠 배(排), 부처 불(佛), 높을 숭(崇), 선비 유(儒)
排佛崇儒(배불숭유):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5)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일곱 칠(七), 갈 거(去), 갈 지(之), 악할 악(惡)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6) 斯文亂賊(사문난적):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이 사(斯), 글월 문(文), 도둑 적(賊)
斯文亂賊(사문난적):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7) 經世致用(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지날 경(經), 인간 세(世), 이룰 치(致), 쓸 용(用)
經世致用(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8) 男女有別(남녀유별):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사내 남(男), 여자 녀(女), 있을 유(有), 나눌 별(別)
男女有別(남녀유별):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9) 虛靈不昧(허령불매):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신령하여 어둡지 아니함. 유교에서 말하는 심상(心狀)과 명덕(明德)의 본질이다.

빌 허(虛), 신령 령(靈), 아니 불(不), 어두울 매(昧)
虛靈不昧(허령불매):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신령하여 어둡지 아니함. 유교에서 말하는 심상(心狀)과 명덕(明德)의 본질이다.

(10) 易姓革命(역성혁명):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11) 易世革命(역세혁명): 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유교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