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가워요. 오늘은 "차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간단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天眞爛漫(천진난만): 말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하늘 천(天), 참 진(眞), 질펀할 만(漫)
(2) 天地之常(천지지상): 천지 사이에 행하여지는 운전(運轉) 및 차고 기울고, 어둡고 밝고 하는 따위의 상도(常道).
하늘 천(天), 땅 지(地), 갈 지(之), 항상 상(常)
(3) 冷暖自知(냉난자지):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안다는 뜻으로, 자기 일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도 안다는 말.
따뜻할 난(暖), 스스로 자(自), 알 지(知)
(4) 改玉改行(개옥개행): 옥을 고치면 걸음걸이도 고친다는 뜻으로, 신분이 변해 몸에 차고 다니는 옥을 바꾸었으면 걸음걸이도 바꾸어야 하듯이 지위가 달라지면 예절도 따라서 달라져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법을 변경하면 그에 맞게 시행도 고쳐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됨.《순자(荀子) 왕패편(王覇篇)》.
고칠 개(改), 구슬 옥(玉), 고칠 개(改), 갈 행(行)
(5) 女丈夫(녀장부): (1)남자처럼 굳세고 기개가 있는 여자. (2)‘여장부’의 북한어.
너 여(女), 어른 장(丈), 지아비 부(夫)
(6) 北風寒雪(북풍한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북녘 북(北), 바람 풍(風), 찰 한(寒), 눈 설(雪)
(7) 佩瓢捉風(패표착풍): 바가지를 차고 바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일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헛되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찰 패(佩), 박 표(瓢), 잡을 착(捉), 바람 풍(風)
(8) 足且足矣(족차족의): 아주 흡족하고 넉넉하여 기준에 차고도 남음.
발 족(足), 또 차(且), 발 족(足), 어조사 의(矣)
(9) 佩韋佩弦(패위패현): 가죽을 차고 활시위를 찬다는 뜻으로, 성질이 급한 사람은 부드러운 가죽을 차고, 성질이 느린 사람은 팽팽한 활시위를 차서 스스로 反省(반성)하고 修養(수양)함.
찰 패(佩), 다룸가죽 위(韋), 찰 패(佩), 활시위 현(弦)
(10) 三寒四溫(삼한사온):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의 동부, 북부에서 나타나는 겨울 기온의 변화 현상.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하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차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