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청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molddu 2021. 3. 27. 04: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대광주리 단(簞), 밥 사(食), 박 표(瓢), 마실 음(飮)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2) 陋巷簞瓢(누항단표):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거리 항(巷), 대광주리 단(簞), 박 표(瓢)
陋巷簞瓢(누항단표):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3)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굽을 곡(曲), 팔 굉(肱), 갈 지(之), 즐거울 락(樂)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4) 舍車而徒(시거이도):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수레 거(車), 말 이을 이(而), 무리 도(徒)
舍車而徒(시거이도):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5) 淸貧樂道(청빈락도):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맑을 청(淸), 가난할 빈(貧), 길 도(道)
淸貧樂道(청빈락도):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6)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계수나무 계(桂), 수풀 림(林), 한 일(一), 가지 지(枝)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7) 簞瓢陋巷(단표누항):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대광주리 단(簞), 박 표(瓢), 거리 항(巷)
簞瓢陋巷(단표누항):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청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