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좋은 하루 ^^; 오늘은 "치욕에 관한 한자어: 모두 8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含垢納汚(함구납오): 수치(羞恥)를 참고 더러움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임금이 치욕을 잘 참음을 이르는 말.
머금을 함(含), 때 구(垢), 들일 납(納), 더러울 오(汚)
(2) 殆辱近恥(태욕근치):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위태할 태(殆), 욕될 욕(辱), 가까울 근(近), 부끄러워할 치(恥)
(3) 國恥民辱(국치민욕):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나라 국(國), 부끄러워할 치(恥), 백성 민(民), 욕될 욕(辱)
(4) 死生榮辱(사생영욕): 죽음과 삶과 영예와 치욕의 뜻으로, 인간 삶의 파란만장(波瀾萬丈) 인생 역정의 의미.
죽을 사(死), 날 생(生), 영화 영(榮), 욕될 욕(辱)
(5) 伸寃雪恥(신원설치): 원한을 풀고 치욕을 씻는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펼 신(伸), 원통할 원(寃), 눈 설(雪), 부끄러워할 치(恥)
(6) 禮義廉恥(예의염치):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옳을 의(義), 부끄러워할 치(恥)
(7) 城下之盟(성하지맹): 성 밑까지 쳐들어온 적군과 맺는 맹약이라는 뜻으로, 항복한 나라가 적국과 맺는 굴욕적인 맹약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성 성(城), 아래 하(下), 갈 지(之), 맹세 맹(盟)
(8)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모일 회(會), 생각할 계(稽), 갈 지(之), 부끄러워할 치(恥)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치욕에 관한 한자어: 모두 8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