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가워요. 오늘은 "나뭇가지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9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同根連枝(동근연지):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한가지 동(同), 뿌리 근(根), 가지 지(枝)
(2) 折枝之易(절지지이):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꺾을 절(折), 가지 지(枝), 갈 지(之), 쉬울 이(易)
(3) 許由掛瓢(허유괘표):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허락할 허(許), 말미암을 유(由), 걸 괘(掛), 박 표(瓢)
(4) 麤枝大葉(추지대엽): 거친 가지와 큰 잎이라는 뜻으로, 굵고 거친 나뭇가지와 큰 잎사귀처럼 문장(文章) 옹졸하거나 자잘하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쓰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거칠 추(麤), 가지 지(枝), 큰 대(大), 잎 엽(葉)
(5) 酒池肉林(주지육림):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술 주(酒), 못 지(池), 고기 육(肉), 수풀 림(林)
(6) 風不鳴枝(풍불명지): 바람이 나뭇가지도 울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에는 큰 바람도 불지 않는다는 것에서 세상이 태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바람 풍(風), 아니 불(不), 울 명(鳴), 가지 지(枝)
(7) 羚羊挂角(영양괘각): 영양이 밤에 잘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해(危害)를 막는다는 뜻으로, 흔적(痕跡ㆍ痕迹)을 찾을 수 없음.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奔放)한 시의 세계(世界)를 이르는 말.
양 양(羊), 걸 괘(挂), 뿔 각(角)
(8) 巢林一枝(소림일지): 규모가 작은 집.
보금자리 소(巢), 수풀 림(林), 한 일(一), 가지 지(枝)
(9)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계수나무 계(桂), 수풀 림(林), 한 일(一), 가지 지(枝)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나뭇가지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9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