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저서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洛陽紙貴(낙양지귀):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말할 때 쓰임.
볕 양(陽), 종이 지(紙), 귀할 귀(貴)
(2) 洛陽紙價貴(낙양지가귀): 낙양의 종이 값이 올랐다는 뜻으로, 책이 널리 세상에 퍼져 애독된다는 의미.
볕 양(陽), 종이 지(紙), 값 가(價), 귀할 귀(貴)
(3) 佛頭著糞(불두착분): 부처의 머리에 똥을 묻힌다는 뜻으로, 훌륭한 저서(著書)에 졸렬(拙劣)한 서문(序文)이라는 의미나, 썩 깨끗한 것을 더럽힌다는 의미로 사용됨.
부처 불(佛), 머리 두(頭), 붙일 착(著), 똥 분(糞)
(4) 諸子百家(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모든 제(諸), 아들 자(子), 일백 백(百), 집 가(家)
(5) 濫吹(남취):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불 취(吹)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저서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