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세계에 상관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5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지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苦輪之海(고륜지해): 고뇌가 끊임없이 닥쳐오는 중생계를 이르는 말.
쓸 고(苦), 바퀴 륜(輪), 갈 지(之), 바다 해(海)
(2) 物我一體(물아일체):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만물 물(物), 나 아(我), 한 일(一), 몸 체(體)
(3)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병 호(壺), 가운데 중(中), 하늘 천(天)
(4) 西方行者(서방행자): 극락에 가려고 염불하는 사람.
서녘 서(西), 모 방(方), 갈 행(行), 놈 자(者)
(5)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없을 무(無), 헤아릴 량(量), 맑을 청(淸), 깨끗할 정(淨), 흙 토(土)
(6) 學海(학해):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배울 학(學), 바다 해(海)
(7) 桃源境(도원경):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복숭아나무 도(桃), 근원 원(源), 지경 경(境)
(8) 往生極樂(왕생극락):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갈 왕(往), 날 생(生), 다할 극(極), 즐거울 락(樂)
(9)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석 삼(三), 일천 천(千), 인간 세(世), 지경 계(界)
(10) 分段同居(분단동거): 부처와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분단생사하는 세계에서 범부와 함께 사는 일.
(11) 武陵桃源(무릉도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12) 無量世界(무량세계): 한없이 크고 넓은 세계.
(13) 安樂國(안락국):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14) 輪廻轉生(윤회전생):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15) 壺中之天(호중지천): 술 항아리 속의 천지(天地)라는 뜻으로, (1) 별세계(別世界) 또는 선경(仙境)을 이르는 말 (2) 지극(至極)히 협소함을 이르는 말.
(16) 仙界(선계): 신선이 산다는 곳.
(17) 壺天(호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18) 業感緣起(업감연기):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현상은 중생의 업(業)에 의하여 생겨남. 또는 그런 세계관이나 인생관.
(19) 羲皇世界(희황세계): 복희씨 이전의 오랜 옛적의 세상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한가하고 태평하게 사는 세상을 이르는 말.
(20) 四方之志(사방지지): 천하 사방을 돌아다니며 다스리려는 큰 뜻.
(21) 臥治天下(와치천하): 누워서 천하를 다스린다는 뜻으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순탄하게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2)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23) 邊照光明(변조광명): 세계(世界)에 두루 비치어 이르지 않은 데가 없다는 뜻으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광명'을 일컫는 말.
(24) 無邊法界(무변법계): 넓고 끝이 없어 온갖 법을 갖추고 있는 세계.
(25) 無邊世界(무변세계): 끝없이 넓고 큰 세계.
(26) 別天界(별천계):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27) 四海同胞(사해동포): 온 세상 사람이 모두 동포라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28) 無間阿鼻(무간아비):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
(29) 羚羊挂角(영양괘각): 영양이 밤에 잘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해(危害)를 막는다는 뜻으로, 흔적(痕跡ㆍ痕迹)을 찾을 수 없음.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奔放)한 시의 세계(世界)를 이르는 말.
(30) 大千世界(대천세계): 중천세계를 천 배 합한 세계.
(31) 寂光淨土(적광정토):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
(32)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33) 別有天地(별유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34) 二律背反(이율배반): (1)‘이율배반’의 북한어. (2)서로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명제. 칸트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된 용어로 세계를 인식 능력에서 독립된 완결적 전체로서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이성은 필연적으로 이율배반에 빠진다고 한다.
(35) 社會思想(사회사상): (1)사회 문제에 관한 이론 체계. (2)사회에 대한 인간의 태도 및 사상.
(36) 弘益人間(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 교육, 문화의 최고 이념이다. ≪삼국유사≫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
(37) 出離生死(출리생사): 생사윤회를 하는 괴로움의 세계에서 벗어나 열반의 세계로 들어감.
(38) 西方淨土(서방정토): 서쪽으로 십만 억의 국토를 지나면 있는 아미타불의 세계.
(39) 生卽無生(생즉무생): (1)우리가 보통 태어난다고 생각하는 그 생(生)도, 인연에 의한 가생(假生)에 불과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무생(無生)이라는 말. (2)염불을 닦는 이가 극락 세계에 왕생하면 그대로가 무생을 얻게 되어 대열반(大涅槃)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40) 常寂光土(상적광토): 사토(四土) 가운데 하나.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41) 壺中天地(호중천지):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42)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3) 他界(타계): (1)다른 세계. (2)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을 이르는 말. (3)불교의 십계(十界) 가운데 인간계 이외의 세계.
(44) 蓮花世界(연화세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45) 安養界(안양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세계에 상관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5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