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한자,사자성어 모음

송곳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2개

molddu 2021. 4. 9. 11:16
반응형

안녕 ^^; 이번에는 "송곳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2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사진과 함께 알아 보세요.

(1) 置錐之地(치추지지): 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둘 치(置), 송곳 추(錐), 갈 지(之), 땅 지(地)
置錐之地(치추지지): 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2) 穎脫(영탈):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이삭 영(穎), 벗을 탈(脫)
穎脫(영탈):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3)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찌를 자(刺), 넓적다리 고(股), 매달 현(懸), 들보 량(梁)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4) 立錐之地(입추지지):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송곳 추(錐), 갈 지(之), 땅 지(地)
立錐之地(입추지지):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5) 錐刀之末(추도지말): 뾰족한 송곳의 끝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일을 이르는 말.

송곳 추(錐), 칼 도(刀), 갈 지(之), 끝 말(末)
錐刀之末(추도지말): 뾰족한 송곳의 끝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일을 이르는 말.

(6) 錐處囊中(추처낭중): 송곳이 주머니에 있으면 그 끝이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재능 있는 사람은 머지않아 그 재능이 알려지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송곳 추(錐), 머무를 처(處), 주머니 낭(囊), 가운데 중(中)
錐處囊中(추처낭중): 송곳이 주머니에 있으면 그 끝이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재능 있는 사람은 머지않아 그 재능이 알려지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穎脫而出(영탈이출): 뾰족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이삭 영(穎), 벗을 탈(脫), 말 이을 이(而), 날 출(出)
穎脫而出(영탈이출): 뾰족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8) 用錐指地(용추지지): 송곳을 써서 땅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송곳을 대지에 꽂아 깊이를 재는 것처럼 견식이 아주 좁음을 이르는 말.

쓸 용(用), 송곳 추(錐), 손가락 지(指), 땅 지(地)
用錐指地(용추지지): 송곳을 써서 땅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송곳을 대지에 꽂아 깊이를 재는 것처럼 견식이 아주 좁음을 이르는 말.

(9) 懸頭刺股(현두자고):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며 졸음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쓴다는 말.

매달 현(懸), 머리 두(頭), 찌를 자(刺), 넓적다리 고(股)
懸頭刺股(현두자고):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며 졸음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쓴다는 말.

(10) 囊中之錐(낭중지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11) 錐囊(추낭): 송곳이 든 주머니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刺股(자고): (1)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다리를 찌름.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가기 송곳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2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