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형제자매에 관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

좋은 하루 ^^; 오늘은 "형제자매에 관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감상해 보세요. (1) 連枝(연지):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지 지(枝) (2) 同氣之親(동기지친): 형제자매 사이의 친애(親愛)를 이르는 말. 한가지 동(同), 기운 기(氣), 갈 지(之), 친할 친(親) (3) 同氣一身(동기일신): 형제자매는 한 몸이나 다름없음을 이르는 말. 한가지 동(同), 기운 기(氣), 한 일(一), 몸 신(身) (4) 割半之痛(할반지통): 몸의 반쪽을 베어 내는 고통이라는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눌 할(割), 반 반(半), 갈 지(之), 아플 통(痛) ..

간직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1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간직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꼭 읽어 보세요. (1) 冥冥之志(명명지지):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어두울 명(冥), 어두울 명(冥), 갈 지(之), 뜻 지(志) (2) 無盡藏(무진장): (1)다함이 없이 굉장히 많음. (2)덕이 넓어 끝이 없음. 닦고 닦아도 다함이 없는 법의(法義)를 이른다. 없을 무(無), 다할 진(盡), 감출 장(藏) (3) 存心養性(존심양성):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있을 존(存), 마음 심(心), 기를 양(養), 성품 성(性) (4) 永世不忘(영세불망): 영원히 잊지..

오나라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오나라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맛볼 상(嘗), 쓸개 담(膽) (2)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패 간(干), 장수 장(將), 없을 막(莫), 어조사 야(耶)..

천장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천장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지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屋漏痕(옥루흔):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집 옥(屋), 샐 루(漏), 흉터 흔(痕) (2) 天井不知(천정부지):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가 따위가 한없이 오르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하늘 천(天), 우물 정(井), 아닌가 부(不), 알 지(知) (3) 懸頭刺股(현두자고):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며 졸음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쓴다는 말. 매달 현(懸), 머리 두(頭), 찌를 자(刺), 넓적다리 고(股)..

경향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6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경향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6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復古思想(복고사상):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회복할 복(復), 예 고(古), 생각할 사(思), 생각 상(想) (2)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강 강(江), 호수 호(湖), 노래 가(歌), 길 도(道) (3) 事大主義(사대주의):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태도. 일 사(事), 큰 대(大), 주인 주(主), 옳을 의(義) (4) 灰色分子(회색분자): 소속, 정치적 노선, 사상적 경향 따위가 뚜렷하지 아니한 사람. 재 회(灰..

사랑함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랑함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사진과 함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摩頂放踵(마정방종):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모두 닳는다는 뜻으로, 온몸을 바쳐서 남을 위하여 희생함을 이르는 말. 갈 마(摩), 정수리 정(頂), 놓을 방(放), 뒤꿈치 종(踵) (2)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빨 연(吮), 등창 저(疽), 갈 지(之), 어질 인(仁) (3) 愛及屋烏(애급옥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

체질에 관련있는 한자어: 세어보니까 4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체질에 관련있는 한자어: 세어보니까 4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蒲柳之姿(포류지자):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부들 포(蒲), 버들 류(柳), 갈 지(之), 맵시 자(姿) (2) 蒲柳質(포류질):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들 포(蒲), 버들 류(柳), 바탕 질(質) (3) 蒲柳之質(포류지질):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무지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지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큰 대(大), 가물 한(旱), 바랄 망(望), 구름 운(雲), 무지개 예(霓) (2)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흰 백(白), 무지개 홍(虹), 꿸 관(貫), 날 일(日) (3) 春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봄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

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8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8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自然選擇(자연선택): 자연계에서 그 생활 조건에 적응하는 생물은 생존하고, 그러지 못한 생물은 저절로 사라지는 일. 다윈이 도입한 개념이다. 스스로 자(自), 그러할 연(然), 가릴 선(選), 가릴 택(擇) (2) 生生之理(생생지리): 모든 생물이 생기고 퍼져 나가는 자연의 이치. 날 생(生), 날 생(生), 갈 지(之), 다스릴 리(理) (3) 萬化方暢(만화방창):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 일만 만(萬), 화할 화(化), 모 방(方), 펼 창(暢) (4) 信及豚魚(신급돈어): 신의가 돼지나 물고기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감정이 없는 사람으로 비유되는..

동서에 상관된 한자어: 모두 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동서에 상관된 한자어: 모두 9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간단히 감상해 보세요. (1) 莫知東西(막지동서): 동서(東西)를 분간(分揀)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事理)를 모르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없을 막(莫), 알 지(知), 동녘 동(東), 서녘 서(西) (2) 不分東西(불분동서): 동서 방향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니 불(不), 나눌 분(分), 동녘 동(東), 서녘 서(西) (3) 東漂西浪(동표서랑): 동쪽으로 표류하고 서쪽으로 방랑한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동녘 동(東), 떠돌 표(漂), 서녘 서(西), 물결 랑(浪) (4) 春夏秋冬節東西南北方(춘하추동절동서남북방): 봄, 여름, 가을, 겨울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