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진보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5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진보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5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사진과 함께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怨入骨髓(원입골수):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몹시 원망함을 이르는 말. ≪사기≫ 에 나오는 말이다. 원망할 원(怨), 들 입(入), 뼈 골(骨), 골수 수(髓) (2) 秀而不實(수이부실):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 학문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그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빼어날 수(秀), 말 이을 이(而), 아닌가 부(不), 열매 실(實) (3)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매질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질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늦기전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惟杖無將(유장무장):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생각할 유(惟), 지팡이 장(杖), 없을 무(無), 장수 장(將) (2) 三治刑問(삼치형문): 세 차례 매질하여 신문하던 일. 석 삼(三), 다스릴 치(治), 형벌 형(刑), 물을 문(問) (3) 唯杖無將(유장무장):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오직 유(唯), 지팡이 장(杖), 없을 무(無), 장수 장(將)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

땅속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3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땅속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3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天藏地祕(천장지비): 하늘과 땅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파묻혀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하늘 천(天), 감출 장(藏), 땅 지(地), 숨길 비(祕) (2) 埋玉(매옥): 옥을 땅에 묻는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이나 미인이 죽어 땅속에 묻힘을 아까워하여 이르는 말. 묻을 매(埋), 구슬 옥(玉) (3) 昇天入地(승천입지): 하늘로 오르고 땅속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취를 감추고 없어짐을 이르는 말. 오를 승(昇), 하늘 천(天), 들 입(入), 땅 지(地)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

본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

안녕 ^^; 이번에는 "본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읽어 보세요. (1) 黃裳綠衣(황상녹의):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귀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누를 황(黃), 치마 상(裳), 옷 의(衣) (2) 敵國之間(적국지간): (1)적국의 사이. (2)본처와 첩 또는 첩과 첩 사이. 원수 적(敵), 나라 국(國), 갈 지(之), 틈 간(間) (3)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

세계에 상관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5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세계에 상관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5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지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苦輪之海(고륜지해): 고뇌가 끊임없이 닥쳐오는 중생계를 이르는 말. 쓸 고(苦), 바퀴 륜(輪), 갈 지(之), 바다 해(海) (2) 物我一體(물아일체):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만물 물(物), 나 아(我), 한 일(一), 몸 체(體) (3)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병 호(壺), 가운데 중(中), 하늘 천(天) (4) 西方行者(서방행자): 극락에 가려고 염불하는 사람. 서녘 서(西), 모 방(方), 갈 행(行)..

보람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7개

반가워요. 오늘은 "보람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7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지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勞而無功(노이무공):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 ≪관자(管子)≫ 에 나오는 말이다. 말 이을 이(而), 없을 무(無), 공 공(功) (2) 漢江投石(한강투석): 한강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미미하여 아무런 효과를 미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한수 한(漢), 강 강(江), 던질 투(投), 돌 석(石) (3) 衣錦夜行(의금야행): 비단옷을 입고 밤에 다닌다는 뜻으로, 모처럼 성공하였으나 남에게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옷 의(衣), 비단 금(錦), 밤 야(夜), 갈 행(行) (4) 夜行被繡(야행피수): 수놓은 좋은 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두려움에 관한 한자어: 다 합치면 4개

반가워요. 오늘은 "두려움에 관한 한자어: 다 합치면 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白色恐怖(백색공포):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흰 백(白), 빛 색(色), 두려울 공(恐), 두려워할 포(怖) (2) 多男多懼(다남다구): 아들을 많이 두면 여러 가지로 두려움과 근심 걱정이 많음. 많을 다(多), 사내 남(男), 많을 다(多), 두려워할 구(懼) (3) 衆口鑠金(중구삭금): 뭇사람의 말은 쇠도 녹인다는 뜻으로, 여론의 힘이 큼을 이르는 말. 무리 중(衆), 입 구(口), 녹일 삭(鑠), 쇠 금(金) (4) 面如土色(면여토색): 몹시 놀라거나 겁에 질려 안색이 흙빛과 같음. 낯 면(面), 같을 여(如), 흙 토(..

책임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6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책임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6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늦기전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字牧之任(자목지임): 백성을 돌보아 다스리는 책임이라는 뜻으로, ‘수령’을 달리 이르는 말. 글자 자(字), 칠 목(牧), 갈 지(之), 맡길 임(任) (2) 輔弼之任(보필지임): 임금을 보좌하는 책임. 또는 그런 직임. 도울 보(輔), 도울 필(弼), 갈 지(之), 맡길 임(任) (3) 挺身出戰(정신출전): 앞장서서 나가 싸운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할 때 과감히 나서 모든 책임(責任)을 다함을 이르는 말. 뺄 정(挺), 몸 신(身), 날 출(出), 싸움 전(戰) (4) 專任責成(전임책성): 오로지 남에게 맡겨서 책임을 지게 함. 오로지 전(專), 맡길 임(任), 꾸짖을..

버섯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버섯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牛溲馬勃(우수마발): (1)질경이와 버섯류라는 뜻으로, 매우 흔하면서도 약으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가치 없는 말이나 글 또는 품질이 나빠 쓸 수 없는 약재 따위를 이르는 말. 소 우(牛), 반죽할 수(溲), 말 마(馬), 우쩍 일어날 발(勃) (2) 冬蟲夏草(동충하초):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겨울 동(冬), 벌레 충(..

어금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금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爪牙之士(조아지사): 믿을 만하고 도움이 되는 신하. 손톱 조(爪), 어금니 아(牙), 갈 지(之), 선비 사(士) (2) 虎牙鷹爪(호아응조): 호랑이의 어금니와 매의 발톱이라는 뜻으로, 자신이 지닌 가장 의지할 수 있는 이로운 도구라는 의미. 범 호(虎), 어금니 아(牙), 매 응(鷹), 손톱 조(爪) (3)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코끼리 상(象), 어금니 아(牙), 탑 탑(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