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주인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32개

반가워요. 오늘은 "주인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32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無主空舍(무주공사): 주인 없는 빈집. 없을 무(無), 주인 주(主), 빌 공(空), 둘 사(舍) (2) 互相入葬(호상입장):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서로 호(互), 서로 상(相), 들 입(入), 장사지낼 장(葬) (3)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강 강(江), 메 산(山), 바람 풍(風), 달 월(月), ..

부화뇌동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

좋은 하루 ^^; 오늘은 "부화뇌동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和而不同(화이부동):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어울리지는 아니함. 고를 화(和), 말 이을 이(而), 아닌가 부(不), 한가지 동(同) (2) 爛漫同歸(난만동귀): 옳지 않은 일에 부화뇌동(附和雷同)함을 이르는 말. 질펀할 만(漫), 한가지 동(同), 돌아갈 귀(歸) (3) 同而不和(동이불화): 서로 편당(偏黨)을 할뿐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附和雷同(부화뇌동)만하고 진정으로 화합(和合)하지 못하는 소인(小人)의 사귐을 이르는 말. 한가지 동(同), 말 이을 이(而), 아니 불(不), 고를 화(和) (4) 附同(부동):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붙..

사촌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

안녕 ^^; 오늘은 "사촌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從叔(종숙): 아버지의 사촌 형제. 좇을 종(從), 아재비 숙(叔) (2) 從姑母(종고모): 아버지의 사촌 누이. 좇을 종(從), 시어미 고(姑), 어미 모(母) (3) 內從妹夫(내종매부): 내종매의 남편을 이르는 말. 안 내(內), 좇을 종(從), 누이 매(妹), 지아비 부(夫) (4) 隔墻之隣(격장지린): 담을 사이에 둔 이웃이라는 뜻으로, 서로 담을 사이에 두고 있는 아주 가까운 이웃의 의미. 곧 이웃사촌의 의미. 사이 뜰 격(隔), 담 장(墻), 갈 지(之), 이웃 린(隣) (5) 內從兄弟(내종형제): ‘고종형제’를 외종형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안 내(內), 좇을..

아내에 관한 한자어: 총 81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내에 관한 한자어: 총 81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쉽게 감상해 보세요. (1) 丈人(장인):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어른 장(丈), 사람 인(人) (2) 徙家忘妻(사가망처):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옮길 사(徙), 집 가(家), 잊을 망(忘), 아내 처(妻) (3)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매화나무 매(梅)..

오랑캐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4개

반가워요. 오늘은 "오랑캐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1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바로 알아 보세요. (1) 南蠻北狄(남만북적):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남녘 남(南), 오랑캐 만(蠻), 북녘 북(北), 오랑캐 적(狄) (2)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오랑캐 호(胡), 말 마(馬), 의지할 의(依), 북녘 북(北), 바람 풍(風) (3) 夜郞自大(야랑자대):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

회포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

반가워요. 오늘은 "회포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바로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느낄 감(感), 품을 회(懷) (2) 感慨無量(감개무량):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 느낄 감(感), 분개할 개(慨), 없을 무(無), 헤아릴 량(量) (3) 萬端情懷(만단정회): 온갖 정과 회포. 일만 만(萬), 바를 단(端), 뜻 정(情), 품을 회(懷) (4) 積年懷抱(적년회포): 여러 해 동안 쌓인 회포. 쌓을 적(積), 해 년(年), 품을 회(懷), 안을 포(抱) (5) 感舊之懷(감구지회): 지난 일을 떠올리며 느끼는 회포. 느낄 감(感), 옛 구(舊), 갈 지(之), 품을 회(懷) (..

장수에 관한 한자어: 전부 4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장수에 관한 한자어: 전부 4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바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독 옹(甕), 셈할 산(算), 그림 화(畵), 떡 병(餠) (2) 將門有將(장문유장):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장수 장(將), 문 문(門), 있을 유(有), 장수 장(將) (3)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빌 허(虛), 전할 전..

농사철에 상관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농사철에 상관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확인해 보세요. (1) 農時方劇(농시방극): 농사철이 되어 일이 한창 바쁨. 농사 농(農), 때 시(時), 모 방(方), 심할 극(劇) (2) 農時方張(농시방장): 농사철이 되어 일이 한창 벌어짐. 농사 농(農), 때 시(時), 모 방(方), 베풀 장(張) (3) 不違農時(불위농시): 농사의 때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농사철에는 농사에 전념하도록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을 부리는 일을 의미하는 말. 아니 불(不), 어길 위(違), 농사 농(農), 때 시(時) (4) 臨農奪耕(임농탈경): (1)농사지을 시기에 이르러 경작자를 바꿈. (2)‘임농탈경’의 북한어. (3)남이 이미 다 마련하여 놓은 것을 가로채는 일..

격렬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6개

좋은 하루 ^^; 오늘은 "격렬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6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감상해 보세요. (1) 憤氣衝天(분기충천): 분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 격렬하게 북받쳐 오름. 결낼 분(憤), 기운 기(氣), 찌를 충(衝), 하늘 천(天) (2) 砲煙彈雨(포연탄우): 총포의 연기와 비 오듯 하는 탄알이라는 뜻으로, 치열한 전투를 이르는 말. 돌쇠뇌 포(砲), 연기 연(煙), 탄환 탄(彈), 비 우(雨) (3) 爭先恐後(쟁선공후): 앞서기를 다투고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뜻으로, 격렬(激烈)한 경쟁(競爭)을 비유(比喩)하는 말. 다툴 쟁(爭), 먼저 선(先), 두려울 공(恐), 뒤 후(後) (4) 激化一路(격화일로): 격렬하게 되는 과정. 부딪쳐흐를 격(激), 화할 화(化), 한 일(..

행위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1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행위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1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쉽게 알아 보세요. (1) 謀殺未遂(모살미수):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이려다가 이루지 못하는 일. 꾀할 모(謀), 죽일 살(殺), 아닐 미(未), 드디어 수(遂) (2) 舍己從人(사기종인):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둘 사(舍), 몸 기(己), 좇을 종(從), 사람 인(人) (3) 邯鄲學步(한단학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땅 이름 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