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앉은자리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앉은자리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읽어 보세요. (1) 座席未煖(좌석미난): 앉은자리가 따듯해질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분주하게 돌아다니거나 이사를 자주 함을 이르는 말. 자리 좌(座), 자리 석(席), 아닐 미(未), 따뜻할 난(煖) (2) 席不暇暖(석불가난):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자리 석(席), 아니 불(不), 겨를 가(暇), 따뜻할 난(暖) (3) 席上揮毫(석상휘호): 그림이나 글씨를 앉은자리에서 즉시 그리거나 쓰는 일. 자리 석(席), 위 상(上), 휘두를 휘(揮), 가는 털 호(毫)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

관념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1개

반가워요. 오늘은 "관념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11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바로 알아 보세요. (1) 士農工商(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선비 사(士), 농사 농(農), 장인 공(工), 헤아릴 상(商) (2) 不可抗力(불가항력):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일. 아니 불(不), 옳을 가(可), 막을 항(抗), 힘 력(力) (3) 本有觀念(본유관념):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밑 본(本), 있을 유(有..

예의에 상관있는 한자어: 총 41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예의에 상관있는 한자어: 총 41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꼭 확인해 보세요. (1) 南蠻北狄(남만북적):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남녘 남(南), 오랑캐 만(蠻), 북녘 북(北), 오랑캐 적(狄) (2) 禮壞樂崩(예괴악붕): 예의(禮儀)와 음악(音樂)이 깨지고 무너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무너질 괴(壞), 풍류 악(樂), 무너질 붕(崩) (3)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석 삼(三), 가지 지(枝), 갈..

두건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

안녕 ^^; 오늘은 "두건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黔首(검수):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검을 검(黔), 머리 수(首) (2) 着巾束帶(착건속대): 건을 쓰고 띠를 두른다는 뜻으로, 관복을 갖추어 입음을 이르는 말. 붙을 착(着), 수건 건(巾), 묶을 속(束), 띠 대(帶) (3) 葛巾野服(갈건야복): 갈건과 베옷이라는 뜻으로, 은사(隱士)나 처사(處士)의 거칠고 소박한 옷차림을 이르는 말. 칡 갈(葛), 수건 건(巾), 들 야(野), 옷 복(服)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

실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9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실제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9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愛莫助之(애막조지): 사랑하나 도와줄 수가 없음. 사랑 애(愛), 없을 막(莫), 도울 조(助), 갈 지(之) (2) 能言鸚鵡(능언앵무):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능할 능(能), 말씀 언(言), 앵무새 앵(鸚), 앵무새 무(鵡) (3) 道學先生(도학선생): 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길 도(道), 배울 학(學), 먼저 선(先), 날 생(生) (4) 羊頭狗肉(양두구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양 양(羊), 머..

천만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6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천만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6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늦기전에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萬古千秋(만고천추): 오래고 영원한 세월. 일만 만(萬), 예 고(古), 일천 천(千), 가을 추(秋) (2) 千秋萬歲(천추만세): (1)천만년의 긴 세월. (2)오래 살기를 축수하는 말. 일천 천(千), 가을 추(秋), 일만 만(萬), 해 세(歲) (3)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마땅할 당(當), 올 래(來), 길 도(道), 스승 사(師) (4) 落心千萬(낙심천만): (1)‘낙심천만’의 ..

자줏빛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자줏빛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일목요연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山明水紫(산명수자): 산과 물이 맑고 자줏빛으로 선명하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메 산(山), 밝을 명(明), 물 수(水), 자주빛 자(紫) (2) 山紫水明(산자수명):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메 산(山), 자주빛 자(紫), 물 수(水), 밝을 명(明) (3) 山紫水麗(산자수려):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곱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메 산(山), 자주빛 자(紫), 물 수(水), 고울 려(麗) (4)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친정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7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친정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아보면 7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쉽게 읽어 보세요. (1) 丈人(장인):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어른 장(丈), 사람 인(人) (2) 大歸(대귀): (1)여자가 이혼을 하고 친정으로 돌아옴. (2)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큰 대(大), 돌아갈 귀(歸) (3) 出嫁外人(출가외인): 시집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고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날 출(出), 시집갈 가(嫁), 바깥 외(外), 사람 인(人) (4) 妾丈人(첩장인): 첩의 친정아버지. 첩 첩(妾), 어른..

지탱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두 3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지탱에 관련있는 한자어: 모두 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오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一木難支(일목난지):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 일(一), 나무 목(木), 어려울 난(難), 가를 지(支) (2) 鷄骨之床(계골지상): 몸이 쇠약(衰弱)해서 침상(寢床)에 기대어 몸을 지탱(支撐)함. 닭 계(鷄), 뼈 골(骨), 갈 지(之), 상 상(床) (3)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높을 고(高), 봉우리 봉(峯), 버틸 탱(撐), 하늘 천(天),..

마흔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5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마흔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5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바로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望五(망오):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바랄 망(望), 다섯 오(五) (2) 四十初襪(사십초말):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나이 들어 처음으로 해 보는 일을 이르는 말. 넉 사(四), 열 십(十), 처음 초(初), 버선 말(襪) (3) 不惑之年(불혹지년):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아니 불(不), 미혹할 혹(惑), 갈 지(之), 해 년(年) (4) 毛織婚式(모직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