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노래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39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노래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39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악기줄 현(絃), 노래 가(歌), 아니 불(不), 그칠 철(輟) (2)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편안할 강(康), 어조사 재(哉), 갈 지(之), 노래 가(歌) (3)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강직에 관한 한자어: 총 3개

안녕 ^^; 이번에는 "강직에 관한 한자어: 총 3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꼭 읽어 보세요. (1) 面折廷爭(면절정쟁):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낯 면(面), 꺾을 절(折), 조정 정(廷), 다툴 쟁(爭) (2) 剛毅木訥(강의목눌):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굳셀 강(剛), 굳셀 의(毅), 나무 목(木), 말더듬을 눌(訥) (3) 史魚秉直(사어병직): 사어(史魚)라는 사람은 위(魏)나라 태부(太傅ㆍ大傅)였으며, 그 성격(性格)이 매우 강직(剛直)하였음. 사기 사(史), 고기 어(魚), 잡을 병(秉), 곧을 직(直)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강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12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강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124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쉽게 감상해 보세요. (1) 恒沙(항사): 항하(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항상 항(恒), 모래 사(沙) (2)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굳셀 강(强), 장수 장(將), 아래 하(下), 없을 무(無), 약할 약(弱), 군사 병(兵) (3) 綿裏針(면리침):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솜 면(綿), 속 리(裏), 바늘 침(針) (4) 河梁別(하량별):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강 이름 하(河), 들보 량(梁), 나눌 별..

차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

반가워요. 오늘은 "차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10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간단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天眞爛漫(천진난만): 말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하늘 천(天), 참 진(眞), 질펀할 만(漫) (2) 天地之常(천지지상): 천지 사이에 행하여지는 운전(運轉) 및 차고 기울고, 어둡고 밝고 하는 따위의 상도(常道). 하늘 천(天), 땅 지(地), 갈 지(之), 항상 상(常) (3) 冷暖自知(냉난자지):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안다는 뜻으로, 자기 일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도 안다는 말. 따뜻할 난(暖), 스스로 자(自), 알 지(知) (4) 改玉改行(개옥개행): 옥을 고치면 걸음걸이도 고친다는 뜻으로, 신분이 변해 몸에 차고 다니..

난초에 관한 한자어: 총 15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난초에 관한 한자어: 총 15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늦기전에 읽어 보세요. (1) 同心之言其臭如蘭(동심지언기취여란): 마음을 함께 하는 말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 한가지 동(同), 마음 심(心), 갈 지(之), 말씀 언(言), 그 기(其), 냄새 취(臭), 같을 여(如), 난초 란(蘭) (2) 芝蘭之交(지란지교):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지초 지(芝), 난초 란(蘭), 갈 지(之), 사귈 교(交) (3) 蘭摧玉折(난최옥절): 난초가 꺾어지고 옥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현인군자나 재자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 꺾을 최(摧), 구슬 옥(玉), 꺾을 절(折) (4) 同心之言(동심지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

시원에 상관된 한자어: 전부 10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시원에 상관된 한자어: 전부 10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꼭 감상해 보세요. (1) 溫凊定省(온정정성):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따뜻할 온(溫), 서늘할 정(凊), 정할 정(定), 살필 성(省) (2) 若拔痛齒(약발통치): 마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걱정을 끼치던 것이 없어져 아주 시원하다는 의미. 같을 약(若), 뺄 발(拔), 아플 통(痛), 이 치(齒) (3) 抱炭希涼(포탄희량): 불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일과 바라는 일이 일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안을 포(抱), 숯 탄(炭), 바랄 희(希), ..

방정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5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방정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5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일목요연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智圓行方(지원행방):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 슬기 지(智), 둥글 원(圓), 갈 행(行), 모 방(方) (2) 方正之士(방정지사): 방정한 선비라는 뜻으로, 언행이 바르고 점잖은 사람의 의미. 모 방(方), 바를 정(正), 갈 지(之), 선비 사(士) (3) 賢良方正(현량방정): 현량하고 방정함. 어질 현(賢), 좋을 량(良), 모 방(方), 바를 정(正) (4) 規行矩步(규행구보): 걸음걸이가 법도와 규칙에 맞는다는 뜻으로, 품행(品行)이 방정(方正)..

조식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

안녕 ^^; 이번에는 "조식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곱 칠(七), 걸을 보(步), 갈 지(之), 재주 재(才) (2) 七步才(칠보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곱 칠(七), 걸을 보(步), 재주 재(才) ..

고름에 관한 한자어: 총 4개

반가워요. 오늘은 "고름에 관한 한자어: 총 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꼭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吮癰舐痔(연옹지치): 종기의 고름을 빨고 치질 앓는 밑을 핥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지나치게 아첨함을 이르는 말. 빨 연(吮), 등창 옹(癰), 핥을 지(舐), 치질 치(痔) (2)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공변될 공(公), 평평할 평(平), 없을 무(無), 사사 사(私) (3) 和風甘雨(화풍감우):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알맞은 비. 고를 화(和), 바람 풍(風), 달 감(甘), 비 우(雨) (4) 兩者擇一(량자택일): (1)둘 중에서 하나를 고름. (2)‘양자택일’의 북한어. 놈 자(者), 가릴 택(擇), 한 일(一) wo..

무모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4개

좋은 하루 ^^; 오늘은 "무모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暴虎馮河(포호빙하): 맨손으로 범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강(黃河江)을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온 말이다. 사나울 포(暴), 범 호(虎), 업신여길 빙(馮), 강 이름 하(河) (2) 螳螂之斧(당랑지부):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버마재비 당(螳), 버마재비 랑(螂), 갈 지(之), 도끼 부(斧) (3) 癡猿捉月(치원착월):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