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태연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8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태연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8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편하게 알아 보세요. (1) 言笑自若(언소자약):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말씀 언(言), 웃을 소(笑), 스스로 자(自), 같을 약(若) (2) 辭色不變(사색불변): 너무 태연하여 말과 얼굴빛이 조금도 변하지 아니함. 말씀 사(辭), 빛 색(色), 아니 불(不), 변할 변(變) (3) 毫髮不動(호발부동): 조금도 움직이지 아니함. 가는 털 호(毫), 터럭 발(髮), 아닌가 부(不), 움직일 동(動) (4) 泰然自若(태연자약): 마음에 어떠한 충동을 받아도 움직임이 없이 천연스러움. 클 태(泰), 그러할 연(然), 스스로 자(自), 같을 약(若) (5) 泰而不驕(태이불교): 태연..

부진에 상관있는 한자어: 전부 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진에 상관있는 한자어: 전부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虎頭蛇尾(호두사미): 범의 머리에 뱀이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성(盛)하나 끝은 부진한 형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범 호(虎), 머리 두(頭), 뱀 사(蛇), 꼬리 미(尾) (2) 南風不競(남풍불경): 남쪽 지방의 노래가 활기가 없다는 뜻으로, 남쪽 지방의 세력이 부진함을 이르는 말. 남녘 남(南), 바람 풍(風), 아니 불(不), 다툴 경(競) (3) 龍頭蛇尾(용두사미): (1)‘용두사미’의 북한어. (2)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을 이르는 말. 머리 두(頭), 뱀 사(蛇), 꼬리 미(尾)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

여우에 상관된 한자어: 총 23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여우에 상관된 한자어: 총 2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여우 호(狐), 의심할 의(疑), 아닐 미(未), 틀 결(決) (2) 與狐謀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줄 여(與), 여우 호(狐), 꾀할 모(謀), 가죽 피(皮) (3)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

거리낌에 상관된 한자어: 다 합치면 2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거리낌에 상관된 한자어: 다 합치면 2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확인해 보세요. (1)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클 확(廓), 그러할 연(然), 큰 대(大), 공변될 공(公) (2) 敢言之地(감언지지):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감히 감(敢), 말씀 언(言), 갈 지(之), 땅 지(地) (3) 自由自在(자유자재):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스스로 자(自), 말미암을 유(由), 스스로 자(自), 있을 재(在) (4) 隱居放言(은거방언):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논어≫의..

눈물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눈물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하면 5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감상해 보세요. (1) 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꽃 화(花), 웃을 소(笑), 소리 성(聲), 아닐 미(未), 들을 청(聽), 새 조(鳥), 울 제(啼), 눈물 루(淚), 어려울 난(難), 볼 간(看) (2)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눈물 루(淚), 벨 참(斬), 말 마(馬), 일어날 속(謖) (3) 伏地流涕(복지유체): 땅에 엎드려 눈물..

근원에 상관된 한자어: 전부 10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근원에 상관된 한자어: 전부 10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편하게 감상해 보세요. (1)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날 생(生), 백성 민(民), 갈 지(之), 처음 시(始), 일만 만(萬), 복 복(福), 갈 지(之), 언덕 원(原) (2) 源淸流淸(원청유청):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근원 원(源), 맑을 청(淸), 맑을 청(淸) (3) 百福之源(백복지원): 온갖 복의 근원. 일백 백(百), 복 복(福), 갈 지(之), 근원 원(源) (4) 濫觴(남상): (1)‘남상’의 북한어. (2..

휘파람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3개

반가워요. 오늘은 "휘파람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 보세요. (1)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아니 불(不), 같을 여(如), 돌아갈 귀(歸) (2) 嵇琴阮嘯(혜금완소):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산 이름 혜(嵇), 거문고 금(琴), 관문 이름 완(阮), 휘파람불 소(嘯) (3) 嘯風弄月(소풍농월): 바람..

종이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31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종이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3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力透紙背(역투지배):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통할 투(透), 종이 지(紙), 등 배(背) (2) 垂于竹帛(수우죽백):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드리울 수(垂), 어조사 우(于), 대 죽(竹), 비단 백(帛) (3) 洛陽紙貴(낙양지귀):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식물에 관련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넉 사(四), 때 시(時), 길 장(長), 푸를 청(靑) (2)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좋을 호(好), 날 생(生), 갈 지(之), 만물 물(物) (3)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기장 서(黍), 떠날 리(離) (4) 鄕藥本草(향약본초):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용의 식물, 동물, 광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시골 향(鄕), 약 약(藥), 밑 본(..

낭떠러지에 관한 한자어: 모두 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낭떠러지에 관한 한자어: 모두 3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層巖絶壁(층암절벽): 겹겹의 바위가 쌓인 깎아지른 낭떠러지라는 뜻으로, 몹시 험한 바위가 겹겹으로 쌓인 낭떠러지의 의미. 층 층(層), 바위 암(巖), 끊을 절(絶), 벽 벽(壁) (2) 孤峰絶岸(고봉절안): 우뚝 솟은 산과 깎아지른 낭떠러지. 외로울 고(孤), 봉우리 봉(峰), 끊을 절(絶), 언덕 안(岸) (3) 千仞斷崖(천인단애): 천 길이나 되는 높은 낭떠러지. 일천 천(千), 길 인(仞), 끊을 단(斷), 벼랑 애(崖)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조만간 다시 올리겠습니다. 바로가기 낭떠러..

반응형